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306

CLI와 GUI의 차이점은? CLI(Command Line Interface)와 GUI(Graphical User Interface)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두 가지 유형입니다. CLI는 텍스트 기반 인터페이스이며, 키보드를 통해 명령어를 입력하여 컴퓨터와 상호작용합니다. GUI는 그래픽 기반 인터페이스이며, 마우스를 통해 메뉴, 버튼, 아이콘 등의 그래픽 요소를 클릭하여 컴퓨터와 상호작용합니다. CLI는 주로 프로그래밍, 서버 관리, 시스템 관리 등과 같은 고급 작업에 사용됩니다. CLI는 명령어와 구문이 복잡할 수 있으며, 학습 곡선이 높을 수 있지만, 배치 작업을 자동화하고 복잡한 작업을 빠르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또한, CLI는 GUI보다 시스템 자원을 적게 사용하므로, 시스템이 느려질 가능성이 적습니다. GUI는 일반적인 .. 2023. 4. 27.
셸 스크립트 만들기 셸 스크립트를 실행하기 위해 우선 셸 스크립트를 만들어봤습니다. 우선 셸 스크립트 파일을 만들 때는 일반적으로 sh 확장자를 생성합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파일명 뒤에 sh 확장자를 붙여 vi에디터를 통해 파일을 생성합니다. 셸 스크립트를 만들 때는 시작시 #!/bin/bash를 붙여 해당 파일이 셸 스크립트라는 것을 알려줍니다. 그리고 실행하고자 하는 명령어들을 입력하고 저장한 후 빠져 나옵니다. 셸 스크립트를 생성했다면 이번에는 셸 스크립트를 실행할 차례입니다. 셸 스크립트를 실행하는 방법은 2가지가 있으며, 첫 번째 방법은 sh 명령어를 이용하여 실행하는 방법입니다. sh myshell.sh 두 번째 방법은 생성한 셸 스크립트 파일에 실행 권한을 주고, 직접 셸 스크립트를 실행하는 방법입니다. c.. 2023. 4. 24.
개발용어 정리_1 4차 산업혁명 정보통신기술(ICT)을 기반으로 디지털, 바이오, 물리학 등의 기술영역 경계가 융합되는 기술혁명으로 기술을 통해 현실세계와 가상세계가 융합되는 새로운 기술 혁신이다. 가비지 컬렉션(Garbage Collection) 메모리 관리 기법 중 하나로 프로그램이 동적으로 할당했던 메모리 영역 중에서 필요없게 된 영역을 해제하는 기능이다. 가상 머신(VM, Virtual Machine) 실제하는 컴퓨터상에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논리적으로 만들어낸 컴퓨터다. 가상화(Virtualization) 하나의 물리적 서버에서 여러 운영체제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소프트웨어 기술이다. 객체(Object) 클래스에서 정의한 것을 토대로 메모리(실제 저장공간)에 할당된 것으로,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 2023. 4. 23.
조건 중심의 반복문_while문 조건 중심의 반복문은 횟수와 관계 없이 특정 조건이 만족되어 졌을 때 반복을 종료 -조건에 따라 한 번만 수행 또는 무한 반복이 될 수도 있음 passwd=int(input("비밀번호 입력: ")) while passwd != 12345 : print("잘못된 비밀번호 !") passwd=int(input("비밀번호 입력: ")) print("환영합니다!" ) 위 코드는 사용자로부터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올바른 비밀번호(12345)가 입력될 때까지 반복하여 비밀번호를 다시 입력받는 코드입니다. 1. 비밀번호 입력받기 passwd = int(input("비밀번호 입력: ")) input() 함수를 사용하여 사용자로부터 비밀번호를 입력받고, int() 함수를 사용하여 정수로 변환하여 passwd 변수에 할당.. 2023. 4.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