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Network tech/STP4

[RSTP] STP 한계와 극복을 위한 RSTP로! RSTP (Rapid Spanning Tree Protocol)의 등장 배경은 주로 STP (Spanning Tree Protocol)의 한계와 느린 수렴 속도에 대한 대응으로 이해할 수 있다. STP의 한계 느린 수렴 속도 -STP의 수렴 속도는 느리다. Topology 변화가 감지되면, 30초에서 시작하여 각 단계를 거쳐 최종적으로는 50초 이상이 소요될 수 있음. 이로 인해 트래픽이 중단되거나 대기 시간이 길어질 수 있음. 모든 경로 사용 불가 -STP는 하나의 경로만 활성화하고 나머지 경로는 차단함으로써 루프를 방지. 따라서 모든 링크를 활용하여 대역폭을 최대화할 수 없음. 선출 기준이 고정적 -Root Bridge와 Port 선출은 브리지 ID와 경로 비용에 기반하며, 네트워크의 현재 트래픽 상.. 2023. 10. 9.
[STP] STP의 동작과정 오늘은 STP의 동작과정에 대해서 설명해 보겠습니다. STP 알고리즘 최종 목적--> Block을 통한 looping 방지 STP 알고리즘의 최종 목적은 Block을 통한 루핑을 방지하는 것입니다. 그러면 그 알고리즘 동작과정에서 알아야 할 포트 역할과 그 과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Port Role 루트 브리지(Root Bridge)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을 수행할 때, 기준 브릿지 (스위치) 논 루트 브리지(Non Root Bridge) •루트 브릿지가 아닌 나머지 브릿지 •Non Root Bridge 당 하나씩의 루트 포트(Root Port)를 가져야 한다. 루트 포트 (Root Port) •루트 브릿지로 가장 빨리갈 수 있는 포트 (= 루트 브릿지와 가장 가까운 포트) 지정 포트 (De.. 2023. 10. 9.
[STP, Spanning tree protocol] part2. BPDU Format STP 2번째 시간으로 STP에서 정보를 송수신할 때 필요한 특수 프레임 "BPDU"에 대해서 공부해 보자. BPDU 란? - BPDU는 Bridge Protocol Data Unit - Spanning Tree 정보를 주고받기 위한 특수한 프레임 - Configuration BPDU와 TCN(Topology Change Notification) BPDU가 존재 •Configuration BPDU : Root Bridge가 만들어서 일반스위치(Non Root Bridge)로 보내는 정보 •TCN BPDU : 토폴로지의 변화(네트워크의 다운, 활성화 등등)를 알려주며 일반스위치(Non Root Bridge)에서 만들어져서 Root Bridge로 보내짐 - Root BID(루트 브리지의 BID), Root .. 2023. 10. 8.
[STP] Part 1 스패닝 트리의 개념과 이해 STP 종류 다양한 STP 종류가 있지만, 이번 시간에 다루어 볼 프로토콜은 STP와 RSTP에 대해서 알아보자. STP가 필요한 이유 1 그럼, 스위치를 두 대 이상으로 네트워크를 디자인하면 되지 않을까? 이렇게 생각할 수 있다. 한 대라서 문제가 발생한 것이니 두 대 이상의 스위치로 디자인을 하면 하나가 고장나도 하나가 살아있으니 괜찮지 않을까? 괜찮지 않다. 다수의 스위치로 네트워크를 디자인하면 패킷이 네트워크를 따라 계속 전송되기에 네트워크를 마비시킬 수 있다. 이런 상황을 네트워크 루프 (Loop)라 하는데, 이런 루프를 예방하기 위해서 STP가 필요한 것이다. 우선 루프에 대해 조금 더 알아보고 STP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자. 루프(Loop)란? 네트워크 루프라는 단어를 들으면 무엇이 .. 2023. 10. 8.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