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etwork tech/Ethernet8 [LAG] LAG(링크 묶기) 쉽게 이해하기: 왜 필요하고 어떻게 쓸까? 네트워크를 공부하다 보면 **LAG(Link Aggregation Group)**라는 용어를 자주 만나게 됩니다. 복잡해 보이지만 사실 매우 간단한 개념이에요. 오늘은 LAG를 쉽게 풀어서 설명해드리겠습니다!📋 목차LAG가 뭔가요?왜 LAG를 쓸까요?LAG 설정하는 방법어디에 쓰이나요?주의할 점은? LAG가 뭔가요?LAG는 쉽게 말해 "여러 개의 케이블을 하나로 묶어서 쓰는 기술"입니다. 🚗 비유로 이해하기일반 도로와 고속도로를 생각해보세요:일반 도로(1개 케이블): 차선이 하나라 차가 막혀요고속도로(LAG): 여러 차선이 있어서 차가 빨리 다녀요일반 연결:컴퓨터 A ─── 1개 케이블 ─── 컴퓨터 BLAG 연결:컴퓨터 A ─── 케이블1 ─┐ ─── 케이블2 ─┤ 여러 개를 묶음 .. 2025. 7. 4. [LACP] LACP(Link Aggregation Control Protocol)란 무엇인가? 네트워크 엔지니어라면 한 번쯤 들어봤을 LACP(Link Aggregation Control Protocol). 오늘은 LAG(Link Aggregation Group)에서 LACP가 왜 필요한지, 그리고 키값과 해시의 역할에 대해 쉽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 목차LACP란 무엇인가?LAG에서 LACP가 필요한 이유키값(Admin Key)의 역할해시(Hash) 알고리즘의 중요성LACP 설정 및 모니터링실무 적용 사례LACP란 무엇인가?**LACP(Link Aggregation Control Protocol)**는 여러 개의 물리적 네트워크 링크를 하나의 논리적 링크로 묶어 관리하는 표준 프로토콜입니다. 🎯 LACP의 핵심 기능자동 링크 관리: 여러 포트를 하나로 자동 관리실시간 장애 감지: 포트 상태 .. 2025. 7. 4. [네트워크 통신 방식] 단방향·반이중·전이중 차이와 듀플렉스 설정법 단방향·반이중·전이중 차이와 듀플렉스 설정법네트워크 통신 방식의 핵심인 단방향, 반이중, 전이중 통신의 차이점부터 실무에서 자주 발생하는 듀플렉스 설정 오류까지, 네트워크 엔지니어와 IT 전문가가 알아야 할 모든 것을 정리했습니다. 특히 FLP 신호와 자동 협상 메커니즘을 이해하면 네트워크 장애 대응 능력이 크게 향상됩니다. 💡 한눈에 보는 핵심 요약:단방향 통신: 송신만 가능 (TV, 라디오)반이중 통신: 송수신 교대로 가능 (무전기)전이중 통신: 동시 송수신 가능 (전화기, 스위치)듀플렉스 설정 불일치는 네트워크 장애의 주요 원인FLP 신호를 통한 자동 협상이 현대 네트워크의 표준 네트워크 통신 방식의 3가지 분류 1. 단방향 통신 (Simplex Communication)단방향 통신은 데이.. 2025. 6. 19. [이더넷]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 : 종류부터 선택법까지 한번에! 💡 네트워크 초보자도 이해하는 랜 케이블의 모든 것UTP vs STP, 다이렉트 vs 크로스 케이블의 차이점과 올바른 선택 방법을 알아보세요.🔌 네트워크 전송 매체란 무엇인가요?전송 매체는 컴퓨터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물리적인 통로입니다. 마치 도로가 자동차의 통행로인 것처럼, 데이터가 이동하는 길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전송 매체의 종류유선 매체: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 광케이블, 동축 케이블무선 매체: WiFi, 블루투스, 라디오파, 마이크로파이 중에서도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은 가정과 사무실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네트워크 케이블입니다.🌀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이란?트위스트 페어 케이블은 두 가닥의 구리선을 나선형으로 꼬아서 만든 케이블입니다. 우리가 흔히 '랜선' 또는 '인터넷 케이블'이.. 2025. 6. 18.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