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306 개발용어 정리_2 그래프(Graph) 노드(정점), 에지(간선)로 이루어진 자료구조를 말하며 그래프의 한 종류인 비선형 계층적 자료 구조다. 기술 부채(Technical Debt) 리팩토링이나 설계 조정의 지연, 다음 업데이트까지 라이브러리나 빌드 도구의 업데이트를 미루는 것, 혹은 로깅이나 디버깅을 대충 처리한 부분을 합리화한 것이다. 깃(git) 소스코드 및 프로젝트의 변경을 관리하는 버전 관리 소프트웨어이다. 깃허브(github) 깃을 사용하는 프로젝트를 지원하는 웹 호스팅 서비스로, URL을 통해 여러 사람의 코드를 언제 어디서든 볼 수 있다. 나스(NAS, Network Attached Storage) USB나 CD처럼 컴퓨터에 직접 연결하지 않고, 네트워크, 즉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는 저장 장치다. 네.. 2023. 5. 5. 파이썬으로 작성된 함수 호출 코드 파이썬으로 함수 호출 코드를 만드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함수는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기본적인 빌딩 블록 중 하나이며, 함수 호출은 이러한 블록을 조합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방식 중 하나입니다. 함수 호출을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습니다. 1. 코드 재사용성: 함수를 호출하는 것은 이전에 작성한 코드를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함수 호출을 사용하여 작업을 수행하면 코드를 중복 작성하는 것을 피할 수 있습니다. 2. 코드의 가독성 향상: 함수를 호출하는 것은 코드의 가독성을 높여주는 데 도움이 됩니다. 함수 이름은 해당 함수가 수행하는 작업을 설명하므로 코드를 이해하기 쉬워집니다. 3. 코드 유지보수 용이성: 함수를 호출하는 것은 코드를 유지보수하기 쉬워집니.. 2023. 5. 4. [Raptor] 랩터 프로그램 사용 목적과 소개 랩터(RAPTOR) 프로그램 소개 및 설치 지금까지는 순서도를 눈으로만 보면서 이해하였는데, 이제부터는 우리가 직접 순서도를 그리면서 코딩하고 실행하여 결과를 확인하며 오류를 수정하는 과정의 실습을 본격적으로 진행하기 위하여 “랩터(RAPTOR)”라는 프로그램을 소개합니다. 랩터 프로그램은 순서도 기반의 프로그래밍 개발 환경을 제공하며, 미 공군에서 개발하여 무료로 제공하는 프로그래밍 교육 도구입니다. 이 프로그램으로 순서도 작성을 편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성한 순서도를 한 스텝씩 따라가면서 실행되는 과정을 시각적으로 볼 수 있어 알고리즘의 흐름을 쉽게 파악하는데 아주 유용한 도구입니다. 프로그램을 설치하기 전에 한 가지만 더 살펴보고 넘어가기로 합니다. 우리가 넓은 의미로 “코딩을 한다”는 것.. 2023. 5. 4. [파이썬] 숫자 랜덤으로 뽑아 합 구하기 import random cnt = 0 while True: x = random.randrange(1,5) y = random.randrange(1,5) ans = int(input("덧셈 결과 값은?")) cnt = cnt+1 if ans == x+y: print("Good Job") break else: print("다시 한번 더") print("총횟수: %d" % cnt) 위 코드는 1부터 4까지의 숫자를 랜덤으로 뽑아서 그 두 수의 합을 구하는 문제를 출제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아 답을 체크하는 코드입니다. random.randrange(1,5) 함수를 사용하여 1부터 4까지의 랜덤 한 정수 값을 x와 y에 각각 할당합니다. input 함수를 사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정수 값을 입력받아 ans .. 2023. 5. 4. 이전 1 ··· 52 53 54 55 56 57 58 ··· 7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