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IP주소10

[ARP]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패킷트레이서 실습2 2. ARP 패킷을 통한 전송과정 위와 같이 토폴로지를 구성하고 ip주소와 mac주소를 설정했습니다. PC0이 브로드캐스트로 ARP 패킷을 보내는 이유는 목표 디바이스의 MAC 주소를 알아내려는 것입니다. 브로드캐스트로 보내면 네트워크 상의 모든 디바이스가 해당 패킷을 받아 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 목표는 "상대방의 MAC 주소"를 알아내는 것이므로 목적지 MAC 주소를 브로드캐스트 주소인 ffff.ffff.ffff로 설정합니다. 또한, target MAC 주소가 0000.0000.0000으로 설정되는 이유는 아직 목표 디바이스의 MAC 주소를 모르기 때문입니다. ARP 요청 패킷에서는 이 부분을 알려주는 용도로 사용되며, 목표 디바이스는 나중에 ARP 응답 패킷을 통해 자신의 실제 MAC 주소를 알려줄.. 2023. 11. 19.
[ARP] ARP(Addresss Resolution Protocol) 동작 과정 참고블로그: https://net-study.club/entry/ARPAddress-Resolution-Protocol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본 게시글은 'PC모드'에서 보시면 잘리지 않은 정상적인 화면으로 보실 수 있습니다. ARP (Address Resolution Protocol)Switch는 MAC Address를 통해서 목적지와 함께 Frame을 주고 받는다. 그러나 처음 통신을 net-study.club 이상으로 arp 동작과정에 대해서 모두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3. 11. 19.
[ARP]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용어 재 설명(복습) ARP는 주소 해결 프로토콜(Address Resolution Protocol)의 약어로, 네트워크 상에서 IP 주소와 MAC 주소 간의 매핑을 담당합니다. 앞에서 나온 내용들을 복습 겸 다시 살펴봅니다. ARP 기능: 설명: ARP는 네트워크에서 IP 주소를 MAC 주소로 변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예시: A 컴퓨터가 B 컴퓨터에 데이터를 보내려면, ARP가 B의 IP 주소를 B의 MAC 주소로 알려줘야 합니다. ARP 캐시 테이블: 설명: ARP는 주소 변환 정보를 저장하는데, 이 정보는 ARP 캐시 테이블에 기록됩니다. 이렇게 저장하면 빠르게 참조할 수 있습니다. 예시: A가 B에게 데이터를 보내면, A의 ARP 캐시 테이블에 B의 IP와 MAC 주소가 저장되어 다음 통신 때 유용해집니다. 브로드캐스.. 2023. 11. 19.
[네트워크] 슈퍼넷팅(Supernetting) 1. 슈퍼넷팅의 개념 - 서브넷팅의 반대 개념 - 네트워크 ID의 비트를 호스트 ID의 비트로 취급 - 주소범위가 작은 네트워크 여러 개를 통합하여 하나의 네트워크로 이용하는 기술로 주로 C클래스에서 사용 - 이를 이용하면 라우터에서 관리해야 할 라우팅 테이블의 개체가 줄어들게 됨. 2. 서브넷팅 VS 슈퍼넷팅 3. 슈퍼넷팅은 왜 필요한가? - 슈퍼넷팅은 IP 주소 체계의 효율적인 관리와 네트워크 라우팅을 개선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4. 슈퍼넷팅의 예제 # 192.168.1.0 ~ 192.168.5.0까지 5개의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할당하여 사용할 경우 라우팅 테이블도 역시 5개가 필요하니 이를 하나의 네트워크로 통합하고자 할 경우 서브넷 마스크를 조절함으로 써 가능 2023. 8. 8.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