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BGP6

[IP-MPLS] IP-MPLS(Multiprotocol Label Switching)란 무엇인가? 1. MPLS(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개요  ● RFC 3031에 정의되어 있음 ● IPv4, IPv6, Ethernet, ATM, Frame-Relay 등 다양한 프로토콜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음 ● MPLS 장비는 미리 결정된 Label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달함 ● 요즘 MPLS만을 이용하는 것만으로는 크게 의미가 없으며 VPN이나 TE 등의 추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기반 기술로 많이 사용함 ● 하나의 물리적인 망에서 여러 개의 독립적인 서비스 수용이 가능함 ● MPLS의 Best-Path 정보는 Routing에 Best-Path가 계산되면 해당 정보를 이용함 ● MPLS Label을 교환하고 Tunnel을 생성하기 위해 Signaling Protocol이 필요.. 2024. 5. 16.
[BGP] BGP(Border gateway protocol) 동기화 ■ BGP와 IGP 동기(Synchronization) 법칙 해결 1. no sync 명령어 사용 2. BGP를 IGP에게 재분배 3. Confederation 사용  ※ eBGP는 서로 다른 AS 간의 연결을 위해 사용 • 서로 다른 AS 간에는 일반적으로 IGP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Connected Network을 사용하여 Neighbor를 설정한다. • 링크 및 노드 Redundancy를 위해 AS 간에 복수의 BR들을 연결할 수 있다. ※ iBGP는 동일한 AS내에 있는 Border Router 간의 Routing Table의 동기를 맞추기 위해 사용• 동일한 AS 안에서는 일반적으로 IGP를 사용하기 때문에 Loopback 주소등을 사용하여 Neighbor를 설정(Redundancy)• iB.. 2024. 4. 28.
[BGP] BGP(Border Gateway Protocol) attribute_1 BGP attribute는 경로 선택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를 이해하는 것은 네트워크 엔지니어에게 매우 중요합니다. AS_PATH 속성은 경로의 AS 번호 시퀀스를 나타내며, BGP Best Path 알고리즘에서 경로 선택에 영향을 줍니다. 다른 예로는 LOCAL Preference 속성이 있으며, 이는 BGP 경로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러한 BGP attribute에 대한 깊은 이해는 네트워크 설계와 문제 해결에 필수적입니다. 또한 BGP attribute를 조절하여 트래픽 엔지니어링을 수행하고, 효율적인 인터넷 연결을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따라서 BGP attribute에 대한 지식은 네트워크 전문가들에게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1. Local preference -.. 2024. 4. 21.
[BGP] IBGP(Internal BGP) VS EBGP(External BGP) 차이는? 1. IBGP vs EBGP 개념 차이 1) IBGP(Internal BGP) -BGP neighber가 동일한 AS에 속하며 IBGP라우터끼리 직접 연결되지 않아도 됨 -EBGP(다른 AS)로 학습한 경로를 또 다른 AS BGP라우터에게 전파할 용도로 사용되기도 함 -EGBP로 학습한 경로 정보는 neighbor에게만 전달함 -TTL값이 255 2) EBGP(External BGP) -AS와 AS 간에서 라우팅을 업데이트를 하는 데 사용되는 BGP (BGP 네이버가 서로 다른 AS이며 네이버는 직접연결 되어 있어야 함) -TTL값이 1이어서 네이버 끼리 직접연결 되어 있어야 한함 직접 연결되어 있지 않다면 TTL을 늘려서 업데이트가 네이버까지 도달하게 해줘야 함 2. IBGP vs EBGP 설정 차이 .. 2024. 4. 13.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