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그래프(Graph)
노드(정점), 에지(간선)로 이루어진 자료구조를 말하며 그래프의 한 종류인 비선형 계층적 자료 구조다.
- 기술 부채(Technical Debt)
리팩토링이나 설계 조정의 지연, 다음 업데이트까지 라이브러리나 빌드 도구의 업데이트를 미루는 것, 혹은 로깅이나 디버깅을 대충 처리한 부분을 합리화한 것이다.
- 깃(git)
소스코드 및 프로젝트의 변경을 관리하는 버전 관리 소프트웨어이다.
- 깃허브(github)
깃을 사용하는 프로젝트를 지원하는 웹 호스팅 서비스로, URL을 통해 여러 사람의 코드를 언제 어디서든 볼 수 있다.
- 나스(NAS, Network Attached Storage)
USB나 CD처럼 컴퓨터에 직접 연결하지 않고, 네트워크, 즉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는 저장 장치다.
- 네이티브 앱(Native App)
모바일 기기에 최적화된 네이티브 언어(개발 언어)로 개발된 앱이다.
- 네임 서버(Name Server)
도메인 이름과 IP의 상호변환을 가능하게 해주는 서버다.
- 노이즈(Noise)
시스템에서 전기적, 기계적 이유로 발생하는 불필요한 신호다.
- 다운타임 비용(Downtime Cost)
시스템이 다운되는 동안 손실된 금액이다.
- 단위 테스트(Unit test)
응용 프로그램에서 테스트 가능한 가장 작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하여 예상대로 동작하는지 확인하는 테스트다.
- 데드락(Deadlock)
'교착 상태'라고 하며 프로세스가 자원을 얻지 못해 다음 처리를 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한다.
- 데몬(Daemon)
리눅스 시스템이 처음 가동될 때 실행되는 백그라운드 프로세스의 일종이며, 메모리에 상주하면서 특정 요청이 오면 즉시 대응할 수 있도록 대기 중인 프로세스를 말한다.
https://ko.wikipedia.org/wiki/%EB%8D%B0%EB%AA%AC_(% EC% BB% B4% ED%93% A8% ED% 8C%85)
반응형
'IT의 모든 것 > IT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상식]컴퓨터를 놀랍도록 빨리 만드는 99 가지 방법_1 (0) | 2024.06.01 |
---|---|
개발용어 정리_3 (0) | 2023.05.14 |
개발용어 정리_1 (0) | 2023.04.23 |
빅데이터의 개념과 특징 (0) | 2023.04.05 |
스탯카운터로 점유율 확인하기 (0) | 2023.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