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twork study/패킷트레이서

[패킷트레이서] 정보기기운용기능사 문제 마스터하기_VLAN이란?

by 어깨 :) 2024. 5. 25.
728x90

실습을 진행하기 이전에 스위치 VLAN(Virtual Local Area Network)은 어떤 건지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1. VLAN(Virtual Local Area Network)

 -가상의 LAN 구성

 -논리적으로 Broadcast 분리

 -VLAN 1Ethernet에서 사용할 수 있게 만들어짐 (삭제 못함)

- 하나의 MAC Bridge 내의 여러 포트들을 복수 개의 LAN Segment로 나누어 Grouping 시키는 기술

- 각 VLAN은 별개의 Broadcast domain이다.

 

2.  VLAN 장점

-Network 분할  Broadcast 분리

-유연성  →물리적으로 큰 변화 없이 구성변경 가능

-보안    →VLAN 간 직접적으로 통신 불가능

 

 

3. VLAN 필요성

 

- 단일 Broadcast에 연결된 단말이 증가할수록 대역폭 낭비

- 단말 간 보안을 보장할 방안 요구

(VLAN 간 별도의 세팅이 없을 시 상호 간 통신 불가)

 

 

 

VLAN 예제

 

-각 부서마다 접근해야 하는 DB가 DB 다름

-각 부서마다 SW를 사용하면 자원 낭비

 

 

 

-하나의 SW로 사용하면 보안에 문제

-필요 없는 DB까지 DB 접근

 

 

 

4.  VLAN 모드

Access Mode

 -포트에 하나의 VLAN 만 할당

 -SW의 해당 포트로 들어갈 때 Tag가 붙고 포트에서 나올 때 Tag가 없어짐

 

 

 

-Access Mode는 장비에 들어오고 나갈 때 VLAN Tag가 붙음

 

 

 

 

Trunk Mode

 -포트에 다수의 VLAN 할당

 -SW의 해당 포트로 나올 때도 Tag를 붙임

 -여러 개의 SW를 논리적으로 하나의 SW처럼 사용하도록 지원

 -Native VLAN이 서로 간 불일치할 경우에는 각 VLAN 간 Traffic이 잘못 인식할 수 있음

 

 

 

 

 

여기서 Native VLAN이란?

 Native VLAN

 -Tag가 있는 Frame을 식별하지 못하는 장치(Hub)끼리 통신할 수 있도록 도와줌

 -802.1Q Trunk에서만 사용

  802.1Q Native VLAN을 이용해 캡슐화되지 않은 Frame도 송수신 가능

    ISL은 캡슐화되지 않은 Frame을 수신하면 폐기

 -Native VLAN Trunk로 송신 시 캡슐화하지 않고 송신함

 -Trunk 포트로 캡슐화되지 않은 Frame을 수신한 SW

  해당 Frame Native VLAN에 소속된 것이라 판단함

 -양측 SW Native VLAN번호가 동일해야 함

 -Trunk 모드는 Tag에 관여하지 않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