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twork study/패킷트레이서

[Inter-Vlan] Inter Vlan에 대해서 알아보자(초보자를 위한 가이드)

by 어깨 :) 2024. 6. 7.
728x90

VLAN Trunk, Trunk Protocol, Untagged Frame: A Comprehensive Guide

What is VLAN Trunk?

A VLAN Trunk allows multiple VLANs to be transmitted over a single physical link between network devices. This is crucial for maintaining VLAN segmentation across multiple switches, ensuring that data remains isolated and secure across different VLANs while sharing the same physical infrastructure.

 

Key Points:

  • VLAN Trunking: Enables the transfer of frames from multiple VLANs over a single trunk link.
  • Application: Commonly used between switches to manage VLAN traffic efficiently.

Trunk Protocols: Frame Identification and Port Grouping

Trunk protocols play a vital role in VLAN configuration by inserting a VLAN ID into Ethernet frames, which helps in identifying the VLAN of each frame. This process allows switches to correctly route frames to their designated VLANs.

Types of Trunk Protocols:

  1. 802.1Q (IEEE Standard):
    • Widely adopted standard for VLAN tagging.
    • Inserts a 4-byte tag into the frame header.
  2. ISL (Cisco Proprietary):
    • Cisco's proprietary VLAN tagging protocol.
    • Encapsulates the entire Ethernet frame with a new header.

Configuration:

  • Protocol Selection: Each trunk can be configured to use either 802.1Q or ISL. Switches can negotiate the protocol to be used.

VLAN Tagged Frames: Understanding the Different Types

Frames processed by VLAN-capable devices (such as LAN switches) fall into three categories based on their tagging:

1. Untagged Frames:

  • Definition: Standard Ethernet frames without a VLAN tag.
  • Usage: Typically used in access ports connected to end devices.

2. Priority-Tagged Frames:

  • Definition: Frames tagged with a VLAN ID of 0, indicating priority but not a specific VLAN.
  • Usage: Utilized for traffic prioritization without VLAN segregation.

3. VLAN-Tagged Frames:

  • Definition: Frames explicitly tagged with a VLAN ID, identifying their associated VLAN.
  • Usage: Essential for VLAN trunking, enabling frame identification across VLANs.

Router Connectivity: Tagged vs. Untagged

Connecting VLANs to a router can be achieved using two methods:

1. No Tag Method:

  • Approach: Assigns a separate router port to each VLAN.
  • Advantage: Simple configuration, suitable for small networks.

2. Tag Method:

  • Approach: Uses a single router port to handle multiple VLANs via tagging.
  • Advantage: Efficient port usage, ideal for larger networks with many VLANs.

Cisco IOS Configuration Commands

Basic Commands for VLAN Trunking on Cisco Switches:

 

 

Port Types:

  • Access Port: Connects to end devices, handling untagged frames.
  • Trunk Port: Connects to other switches, handling tagged frames from multiple VLANs.

Conclusion

Understanding VLAN trunks, trunk protocols, and tagged frames is essential for network efficiency and security. Whether using IEEE 802.1Q or Cisco's ISL, these concepts facilitate the organized and secure transmission of data across complex networks. Cisco IOS commands provide a straightforward method to configure and manage these VLAN settings, ensuring seamless network operations.

 

 

 

VLAN 트렁크, 트렁크 프로토콜, Untagged 프레임: 종합 가이드

VLAN 트렁크란 무엇인가?

VLAN 트렁크는 네트워크 장치 간의 단일 물리적 링크를 통해 여러 VLAN을 전송할 수 있게 해 줍니다. 이는 여러 스위치 간에 VLAN 분할을 유지하여 데이터가 동일한 물리적 인프라를 공유하면서도 서로 다른 VLAN 간에 격리되고 안전하게 유지되도록 합니다.

핵심 포인트:

  • VLAN 트렁킹: 단일 트렁크 링크를 통해 여러 VLAN의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게 해 줍니다.
  • 적용: VLAN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스위치 간에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

트렁크 프로토콜: 프레임 식별 및 포트 그룹화

트렁크 프로토콜은 이더넷 프레임에 VLAN ID를 삽입하여 VLAN의 각 프레임을 식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과정을 통해 스위치가 프레임을 올바른 VLAN으로 라우팅 할 수 있습니다.

트렁크 프로토콜의 종류:

  1. 802.1Q (IEEE 표준):
    • VLAN 태깅을 위한 널리 채택된 표준입니다.
    • 프레임 헤더에 4바이트 태그를 삽입합니다.
  2. ISL (시스코 전용):
    • 시스코의 전용 VLAN 태깅 프로토콜입니다.
    • 전체 이더넷 프레임을 새로운 헤더로 캡슐화합니다.

설정:

  • 프로토콜 선택: 각 트렁크는 802.1Q 또는 ISL 중 하나를 사용하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스위치는 사용할 프로토콜을 협상할 수 있습니다.

VLAN 태그 된 프레임: 다른 유형 이해하기

VLAN 기능이 가능한 장치(예: LAN 스위치)에서 처리되는 프레임은 태그에 따라 세 가지 범주로 나뉩니다.

1. Untagged 프레임:

  • 정의: VLAN 태그가 없는 일반 이더넷 프레임.
  • 용도: 엔드 디바이스에 연결된 액세스 포트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2. Priority-Tagged 프레임:

  • 정의: VLAN ID가 0인 태그 된 프레임, 우선순위를 나타내지만 특정 VLAN을 식별하지는 않습니다.
  • 용도: VLAN 분리가 필요 없는 트래픽 우선순위 지정에 사용됩니다.

3. VLAN-Tagged 프레임:

  • 정의: 명시적으로 VLAN ID가 태그 된 프레임, 해당 VLAN을 식별합니다.
  • 용도: VLAN 트렁킹에 필수적이며, VLAN 간 프레임 식별을 가능하게 합니다.

라우터 연결: 태그 된 방식 대 Untagged 방식

VLAN을 라우터에 연결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1. No Tag 방식:

  • 접근 방식: 각 VLAN에 별도의 라우터 포트를 할당하는 방식입니다.
  • 장점: 설정이 간단하여 소규모 네트워크에 적합합니다.

2. Tag 방식:

  • 접근 방식: 태그를 통해 여러 VLAN을 단일 라우터 포트로 처리하는 방식입니다.
  • 장점: 포트 사용이 효율적이며, 많은 VLAN을 가진 대규모 네트워크에 적합합니다.

Cisco IOS 구성 명령어

Cisco 스위치에서 VLAN 트렁킹을 위한 기본 명령어:

 

포트 유형:

  • 액세스 포트: 엔드 디바이스에 연결되어 태그 되지 않은 프레임을 처리합니다.
  • 트렁크 포트: 다른 스위치에 연결되어 여러 VLAN의 태그 된 프레임을 처리합니다.

결론

VLAN 트렁크, 트렁크 프로토콜 및 태그 된 프레임을 이해하는 것은 네트워크 효율성과 보안을 위해 필수적입니다. IEEE 802.1Q 또는 시스코의 ISL을 사용하든, 이러한 개념은 복잡한 네트워크 전반에 걸쳐 데이터를 조직적이고 안전하게 전송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Cisco IOS 명령어는 이러한 VLAN 설정을 구성하고 관리하는 간단한 방법을 제공하여 원활한 네트워크 운영을 보장합니다.

 

http://www.ktword.co.kr/test/view/view.php?nav=2&no=3478&sh=inter-vlan

 

VLAN 트렁크

  Inter VLAN, VLAN Trunk, Trunk Protocol   VLAN 트렁크, 트렁크 프로토콜(2023-11-28)

www.ktword.co.kr

 

 

#Inter-VLAN라우팅 #Inter-VLAN통신 #Inter-VLAN네트워크구성 #VLAN간트래픽 #VLAN라우터설정 #Inter-VLAN설정가이드 #Inter-VLAN라우팅예제 #스위치 간 VLAN통신 #CiscoInter-VLAN라우팅 #Inter-VLAN라우팅프로토콜 #VLAN간연결 #Inter-VLAN트렁크설정 #VLAN라우팅문제해결 #VLAN인터페이스설정 #Inter-VLAN보안설정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