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309 [DHCP] DHCP 서버 설치와 운영_3 우선 텍스트 모드에서 DHCP 클라이언트로 지정합니다. ping -c 3 www.google.com 명령을 입력해 봅니다. Server(b)는 설치 시 고정 IP 주소인 192.168.111.200을 할당했으므로 DHCP 서버의 작동과 관계없이 네트워크에 잘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vi나 nano 에디터로 /etc/netplan/*. yaml 파일을 열고 편집합니다. 그리고 5행의 'dhcp4: no' 부분을 'dhcp:true'로 변경하고 6~9행은 삭제합니다. DHCP 클라이언트 역할을 하도록 설정하는 것입니다. 저장하고 닫습니다. 현재 상태에서 재부팅하면 부팅 과정에서 네트워크를 가동하기 위해 한참 동안 대기해야 한다. 이 시간을 20초로 줄입니다. vi나 nano로 etc/sy.. 2023. 6. 28. [DHCP] DHCP 서버 설치와 운영_2 우선 client를 부팅합니다. 오른쪽 아래 네트워크 모양의 아이콘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한 후 [네트워크 연결 설정]을 선택합니다. [IPv4] 탭의 [방법]이 '자동'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즉, DHCP 서버에서 자동으로 IP주소를 할당받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입니다. 터미널에서 ifconfig 명령을 입력해 자동으로 할당된 IP 주소를 확인해 봅니다. 설정된 192.168.111.131은 VMware가 제공하는 DHCP 서버에서 할당받은 IP 주소입니다. /etc/resolv.conf 파일도 확인해 봅니다. nameserver(DNS서버)가 127.0.0.xx로 설정된 것은 아래에 표시된 네임 서버를 사용하겠다는 의미입니다. VMware의 DHCP 서버가 네임 서버를 1.. 2023. 6. 27. [Random, Range] 주사위를 던져서 나오는 값들 빈도 계산하기 위의 코드는 주사위를 1000번 던져서 각 숫자들이 나오는 빈도를 계산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아래는 코드의 자세한 설명입니다. 1. 빈도를 저장할 리스트 초기화 counters=[0,0,0,0,0,0] 숫자 1부터 6까지의 빈도를 나타내기 위한 리스트 counters를 생성하고, 모든 원소를 0으로 초기화합니다. 각 원소는 숫자 1부터 6까지의 주사위 눈을 나타냅니다. 2. 주사위를 1000번 던져서 빈도 계산 for i in range(1000) 1000번 반복하는 for 루프를 설정합니다. value=random.randint(1,6) : random.randint(1,6) 함수를 사용하여 1부터 6 사이의 무작위 숫자 value를 생성합니다. counters [value-1]=counters [val.. 2023. 6. 26. [list, avg] 저장된 숫자들의 평균을 계산 , 출력하기 위에 보이는 코드는 사용자로부터 5개의 숫자를 입력받아 리스트에 저장하고, 저장된 숫자들의 평균을 계산하여 출력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아래는 코드의 자세한 설명입니다. 즉,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숫자들을 동적으로 리스트에 저장하고, 이를 활용하여 합계와 평균을 계산하는 예제입니다. 1. 빈 리스트와 합계 변수 초기화: lista=[] : 빈 리스트 lista를 생성하여 숫자들을 저장할 준비를 합니다. sum=0 : 숫자들의 합계를 저장할 변수 sum을 0으로 초기화합니다. 2. 5개의 숫자 입력받기: for i in range(5): : 5번 반복하는 for 루프를 설정합니다. n=int(input('숫자입력: ')) : 사용자로부터 숫자를 입력받습니다. 입력된 값은 n에 저장됩니다. lista.appen.. 2023. 6. 26. 이전 1 ··· 44 45 46 47 48 49 50 ··· 7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