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etwork tech/OSPF16 [OSPF] LSA(Link state advertisement)와 LSDB(Link state database)의 개념은? 시작하기 전에 간단하게 개념을 요약하자면, OSPF 네트워크에서, 각 라우터는 Link State Advertisement (LSA)를 통해 네트워크 정보를 교환합니다. 이 정보는 Link State Database (LSDB)에 저장되며, OSPF 라우터는 이를 기반으로 최적의 경로를 계산합니다. 이 과정을 통해 OSPF는 네트워크 간 최적의 경로를 유지하고 관리합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OSPF는 네트워크의 효율성을 최대화하고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1) LSA(Link State Advertisement) 최초 각 router는 자신에게 직접 연결된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인 LSA(Link state advertisement)를 만든다. 1. Link 상태 변화에 대해 전달, 자신의 Interf.. 2024. 3. 31. [OSPF] OSPF LSA type 알아보자 들어가기 전.. OSPF LSA 타입 요약 OSPF에서 LSA는 네트워크의 상태 및 경로 정보를 교환하는 데 사용됩니다. 각 LSA 유형은 OSPF 네트워크에서 특정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OSPF 라우팅 도메인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LSA 유형과 그 역할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OSPF 라우팅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네트워크에서 LSA를 모니터링하고 디버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Type 1 (Router) LSA 각 라우터에서 생성됨 해당 라우터에 연결된 링크 목록을 포함 링크 상태 및 링크의 Outgoing OSPF Cost 정보를 포함 상세 정보 확인: show router ospf database type router Type 2 (Network) LSA 멀티 액세스 세그먼트에서 DR(Desig.. 2024. 3. 31. [OSPF] OSPF(Open Shortest Path First) Area 개념과 특징 • 개요 -라우터들의 논리적인 집합 / 인터페이스들의 논리적인 집합(Area의 설정은 인터페이스 단위로 설정) • 특징 -Area 정보는 Hello Packet에 포함되어 전달된다. -Area 정보가 다를 경우 neighbor 관계를 맺지 못한다. -Interface는 1개의 Area에만 할당 가능 -서로 다른 Area와 통신을 하기 위해 Area 0(Backbone)를 통해서만 통신 가능 • Area 구분의 원칙 - Multi-Area인 경우 Backbone Area는 반드시 존재해야 한다. - Stubs Area는 반드시 Backbone Area에 연결되어야 한다. - Backbone Area는 연속적이어야 한다. 용 어 설 명 Backbone Area(Area 0) - OSPF 핵심이 되는 Area.. 2024. 3. 16. [OSPF] OSPF(Open Shortest Path First)의 개념 Link State Routing Protocol • OSPF의 정의 자율시스템(AS) 내부의 라우터들끼리 라우팅 정보를 교환하는 Link-State Routing Protocol Area 개념을 이용하여 독립적으로 구역에 라우팅 환경을 설정하는 방식 • OSPF 특징 -Hop Count의 제한이 없어 네트워크의 크기도 제한이 없으며 중·대규모 네트워크에 사용된다. -각 라우터마다 전체 네트워크의 정보를 가지고 있다 -네트워크에 변화가 있을 경우 Routing 정보를 교환 -Dijkstra 및 SPF Algorithm을 이용하여 최단 경로를 탐색 • OSPF 계층구조(계층적 라우팅) 네트워크의 각 자율시스템(AS)를 다시 영역(Area)로 나눠 계층적으로 관리하는 방식 Routing-Table의 엔트리 .. 2024. 3. 16. 이전 1 2 3 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