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서버 보안71 시스템 보안_세션 관리와 접근 제어 1. 시스템 보안의 이해 2. 계정 관리 3. 세션 관리 4. 접근 제어 5. 권한 관리 6. 로그 관리 7. 취약점 관리 8. 모바일 보안 1. 세션 관리 1) 세션의 개요 • ‘사용자와 시스템 사이 또는 두 시스템 사이의 활성화된 접속’을 의미 예) 줄 서고 있을 때 친구에게 자리 맡아달라고 부탁하기 2) 지속적인 인증 • 세선을 유지하기 위한 보안 사항 중 하나 • 인증에 성공한 후 인증된 사용자가 처음의 사용자인지 지속적으로 재인증 작업을 거치는 작업 • 매번 패스워드를 입력할 수 없으므로 시스템은 이를 세션에 대한 타임아웃 설정으로 보완 (윈도의 화면보호기) • 반면 유닉스는 원격에서 접속할 경우 패스워드를 다시 묻지 않고 세션을 종료한 후 재접속할 것을 요구 • 시스템이 아닌 웹 서비스를 이용.. 2023. 5. 10. 질문을 출력할 수 있는 셸 스크립트_read #!/bin/bash echo -n "what is your name?" read name echo $name echo -n "what is your number?" read number echo $number root@server:~#./name.sh what is your name?louis louis what is your number?16 16 root@server:~# nano name.sh root@server:~# 위 구문은 사용자로부터 이름과 숫자를 입력받는 셸 스크립트입니다. 사용자에게 이름을 입력 받을 때 "what is your name?" 이라는 질문을 출력하고, 사용자의 입력 값을 변수 $name에 저장합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에게 숫자를 입력받을 때 "what is your n.. 2023. 5. 8. 셸 스크립트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함수_echo, 반복문(for, while) 1. echo echo 문자열 > 파일 echo는 터미널에 문자열을 출력할 때 사용합니다. echo에 > 연산자를 사용하여 문자열을 파일에 출력할 수 있습니다. 파일이 존재한다면 > 연산자는 파일의 내용을 모두 제거하고, 전달된 문자열만 저장되도록 합니다. root@server:~# echo "so easy" > for-exam.sh root@server:~# cat for-exam.sh so easy 다음과 같이 스크립트를 두 번 실행하고 cat으로 파일 내용을 출력해 보면만 파일에 저장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root@server:~# nano for-exam.sh 입력 결과 : so easy echo에서 >> 연산자를 사용하면, 기존 파일의 내용은 삭제하지 않고, 파일의 끝에 문자열을 추가합니.. 2023. 5. 8. 장치의 설치 및 관리_Proc # /proc 디렉터리 내 주요 파일 - /proc/partiotions : 현재 시스템의 파티션 정보를 저장 /proc/partitions은 리눅스 시스템에서 현재 사용 가능한 디스크 파티션 정보를 제공하는 가상 파일 시스템(Virtual File System)입니다. 이 파일 시스템은 커널에 의해 생성되며, 현재 시스템에 연결된 모든 저장 장치의 파티션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proc/partitions 파일에는 다음과 같은 정보가 포함됩니다. -Major number: 파티션을 구성하는 데 사용되는 주요 장치 번호 -Minor number: 파티션을 구성하는 데 사용되는 부 장치 번호 -Block count: 파티션의 블록 수 -Partition name: 파티션의 이름 이 정보를 사용하여, 시스.. 2023. 5. 2. 이전 1 ··· 5 6 7 8 9 10 11 ··· 1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