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309

정보 보안 용어(8) 사이버보안 대연합 - 기존 CISO 협의체, 침해사고대응팀협의회 등 민간분야 정보보호 협·단체와의 전략적 협력을 통해 사이버보안이라는 공동의 목표로 ’21년 11월부터 운영 ※ 민·관 채널 8명으로 구성된 운영위원회와 사이버위협 대응 특성을 반영한 3개 분과(정책·제도, 탐지·공유, 대응·역량)로 구성 사이버 위협 인텔리전스 네트워크 - 국내 사이버 위협 이슈 공유, 침해사고 공동대응, 신뢰관계 강화 등을 목표로 ‘14년 12월부터 운영 - 2022년부터 2년간의 기수제로 운영하고 있으며, 최근 제 1기 국내 및 국외 사이버 위협 인텔리전스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위협정보 공유 ※ 참여기업(10개) : (국내)NSHC, S2W, 안랩, 이글루시큐리티, 이스트시큐리티,(국외)MS, 맨디언트, 카스퍼스키, 트렌.. 2023. 3. 23.
블록 암호 운용 방식_ECB, CBC, CFB, OFB, CTR 현대 대칭키 암호를 이용한 암호화 기법 1. 블록 암호의 사용 방식 1) 개요 암호학에서 블록 암호 운용 방식( block cipher modes of operation)은 하나의 키 아래에서 블록 암호를 반복적으로 안전하게 이용하게 하는 절차를 말한다. 블록 암호는 특정한 길이의 블록 단위로 동작하기 때문에, 가변 길이 데이터를 암호화하기 위해서는 먼저 이들을 단위 블록들로 나누어야 하며, 그리고 그 블록들을 어떻게 암호화할지 정해야 하는데, 이때 블록들의 암호화 방식을 운용 방식이라 부른다. 운용 방식은 주로 암호화와 인증을 목적으로 정의되어 왔다. 역사적으로 암호화 방식은 다양한 시나리오의 데이터 수정 측면에서 오류 증식 특성과 관련하여 널리 연구되어 왔다. 나중에 무결성 보호는 암호화와는 완전히 .. 2023. 3. 23.
인공지능은 무엇인가? 1. 인공지능의 개념 •지능(Intelligence) –무언가를 이해하고 배우는 능력 –오직 인간만 가지고 있는 고유의 성질 –본능적으로 행동하는 것이 아니라 생각하고 이해함으로써 행동으로 옮기는 능력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 –컴퓨터가 학습하고 생각하여 스스로 판단할 수 있도록 만드는 기술 –1956년 다트머스 컨퍼런스(Dartmouth Conference)에서 처음으로 제안 –컴퓨터를 이용하여 인공의 지능을 모방해 만들어진 이례적인 지능 –인공지능을 만들기 위해서는 뇌의 작동 원리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함 •인간 뇌 구조를 닮은 ‘인공신경망’을 만들면서 시작 •따라서 인공지능 분야는 컴퓨터 공학, 뇌과학, 유전학, 심리학, 사회문화적 학문들과도 포괄적으로 관계 .. 2023. 3. 22.
정보 보안 용어(7) 아・태 정보보호교육 (APISC Training, Asia-Pacific Information Security Center) - ‘05년부터 아․태 지역에서 침해사고대응팀을 운영하고 있거나 구축할 계획이 있는 개발도상국을 대상으로 전문적인 교육 기회 제공 - 침해사고대응팀(CERT) 구축 및 운영에 필요한 지식전달, 침해사고 대응경험 및 노하우 전수 등 정보보호의 날 - 정부는 2012년 범부처 합동으로 사이버 공격을 예방하고, 국민들의 정보보호 생활화를 위해 매년 7월 둘째 주 수요일을 '정보보호의 날'로 지정 ※ '12.10.22, 대통령령 제24142호, 각종 기념일 등에 관한 규정에 근거 ※ 정보보호의 날과 연계하여 매년 7월을 정보보호의 달로 지정 데프콘(DEFCON) - 세계 최대의 보안 컨퍼.. 2023. 3.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