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ubuntu4

[DHCP] DHCP 서버 설치와 운영_2 우선 client를 부팅합니다. 오른쪽 아래 네트워크 모양의 아이콘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한 후 [네트워크 연결 설정]을 선택합니다. [IPv4] 탭의 [방법]이 '자동'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즉, DHCP 서버에서 자동으로 IP주소를 할당받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입니다. 터미널에서 ifconfig 명령을 입력해 자동으로 할당된 IP 주소를 확인해 봅니다. 설정된 192.168.111.131은 VMware가 제공하는 DHCP 서버에서 할당받은 IP 주소입니다. /etc/resolv.conf 파일도 확인해 봅니다. nameserver(DNS서버)가 127.0.0.xx로 설정된 것은 아래에 표시된 네임 서버를 사용하겠다는 의미입니다. VMware의 DHCP 서버가 네임 서버를 1.. 2023. 6. 27.
[NFS]NFS 서버 설치와 운영해보기 오늘은 NFS 서버에 대해서 실습하려고 합니다. NFS 서버는 리눅스 컴퓨터끼리 저장 공간을 공유하는 서비스입니다. windows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끼리 간단하게 폴더(디렉터리)를 공유할 수 있지만, 리눅스는 대부분 명령어로 작업을 해결해야 하므로 windows보다는 좀 더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NFS 서버 구현의 개요도 -구현 순서 1. NFS 서버에 관련 패키지를 설치합니다. 2. NFS 서버의 /etc/exports에 공유할 디렉터리, 접근을 허가할 컴퓨터, 접근 권한을 지정합니다. 3. NFS 서비스를 실행합니다. 4. NFS 클라이언트에 관련 패키지를 설치합니다. 5. NFS 클라이언트에 showmount 명령을 실행해 NFS 서버에 공유된 디렉터리가 있는지 확인합니다. 6. .. 2023. 5. 30.
셸의 기본_shell script 1. 정의 셸(Shell)은 컴퓨터 운영체제에서 사용자와 컴퓨터 하드웨어 또는 운영체제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쉘은 터미널(terminal)이나 콘솔(console) 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명령어를 해석하고, 운영체제의 기능을 호출하여 실행합니다. 보통 리눅스나 macOS와 같은 유닉스(UNIX) 계열의 운영체제에서는 Bash, Zsh, Ksh 등 다양한 셸이 존재하며, Windows에서도 PowerShell이나 CMD 등의 셸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셸은 사용자가 명령어를 입력하면, 그 명령어를 해석하여 해당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출력합니다. 이를 통해 파일 관리, 프로그램 실행, 프로세스 관리, 환경 설정 등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또한 셸은 스크립트를.. 2023. 4. 17.
클라우드란 무엇인가_클라우드 개념, 종류, 기능 구분 클라우드란 무엇인가 – 개념, 장점, 서비스 구분 가트너는 2022년까지 클라우드가 글로벌 IT 시장에 빠르게 침투할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지금도 클라우드의 빠른 성장세와 활용 분야를 다루는 기사들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화제의 키워드로 자리매김한 ‘클라우드’ 클라우드는 대체 무엇이고, 어떻게 활용해야 할까요? 클라우드 개념부터 도입방법까지 가비아가 하나씩 소개합니다. 클라우드란 무엇인가? 개념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인터넷 기반의 컴퓨팅을 말합니다. 인터넷상의 가상화된 서버에 프로그램을 두고 필요할 때마다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에 불러와 사용하는 서비스입니다. 클라우드(Cloud)라는 단어가 말해주듯, 인터넷 통신망 어딘가에서 구름에 싸여 보이지 않는 컴퓨팅 자원(CPU, 메모리, 디스크 등)을 원하는 대로.. 2023. 3. 21.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