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tub area4 [OSPF] NSSA(Not-So-Stubby Area)란? 안녕하세요! 오늘은 네트워크에서 꼭 알아야 할 개념인 NSSA에 대해 알아볼게요.처음엔 어려워 보이지만, 차근차근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목차 1. NSSA가 뭘까요? 2. NSSA의 주요 특징 3. NSSA의 장점 4. 실제 활용 사례 5. 마무리 1. NSSA가 뭘까요? 🤔NSSA는 Not-So-Stubby Area의 약자예요. OSPF 라우팅 프로토콜에서 사용하는 특별한 영역인데요. 기존 Stub Area보다 더 많은 기능을 제공하면서도 네트워크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해 줍니다. 2. NSSA의 주요 특징 ✨ ▶️ Type 7 LSA 사용 - 기존 OSPF와 다른 특별한 방식 사용 - ABR에서 자동으로 Type 5 LSA로 변환 - 외부 정보를 더 효율적으로 관리 ▶️ Stub Area의.. 2025. 1. 12. [OSPF] OSPF Passive 네트워크 시나리오와 주의사항(3)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트에서는 OSPF Passive 인터페이스를 활용하여 네트워크 성능과 보안을 어떻게 강화할 수 있는지 구체적인 시나리오를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OSPF Passive 인터페이스는 네트워크에서 불필요한 OSPF 트래픽을 줄이고, 대역폭을 절약하며, CPU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해 줍니다. 다양한 실제 환경에서의 활용 사례와 주의사항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OSPF Passive 인터페이스의 성능 영향대역폭 절약: Passive 인터페이스는 OSPF 패킷 교환을 하지 않아 대역폭을 절약합니다.CPU 리소스 절약: OSPF 프로세스에 사용되는 CPU 자원을 줄여 장비의 성능을 향상합니다.라우팅 테이블 최적화: 불필요한 경로 정보를 제외하여 라우팅 테이블 크기를 줄입니다.수렴 .. 2024. 10. 20. [OSPF] OSPF LSA type 알아보자 들어가기 전.. OSPF LSA 타입 요약 OSPF에서 LSA는 네트워크의 상태 및 경로 정보를 교환하는 데 사용됩니다. 각 LSA 유형은 OSPF 네트워크에서 특정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OSPF 라우팅 도메인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LSA 유형과 그 역할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OSPF 라우팅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네트워크에서 LSA를 모니터링하고 디버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Type 1 (Router) LSA 각 라우터에서 생성됨 해당 라우터에 연결된 링크 목록을 포함 링크 상태 및 링크의 Outgoing OSPF Cost 정보를 포함 상세 정보 확인: show router ospf database type router Type 2 (Network) LSA 멀티 액세스 세그먼트에서 DR(Desig.. 2024. 3. 31. [OSPF] OSPF(Open Shortest Path First) Area 개념과 특징 • 개요 -라우터들의 논리적인 집합 / 인터페이스들의 논리적인 집합(Area의 설정은 인터페이스 단위로 설정) • 특징 -Area 정보는 Hello Packet에 포함되어 전달된다. -Area 정보가 다를 경우 neighbor 관계를 맺지 못한다. -Interface는 1개의 Area에만 할당 가능 -서로 다른 Area와 통신을 하기 위해 Area 0(Backbone)를 통해서만 통신 가능 • Area 구분의 원칙 - Multi-Area인 경우 Backbone Area는 반드시 존재해야 한다. - Stubs Area는 반드시 Backbone Area에 연결되어야 한다. - Backbone Area는 연속적이어야 한다. 용 어 설 명 Backbone Area(Area 0) - OSPF 핵심이 되는 Area.. 2024. 3. 16.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