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SDN5

[네트워크] Control Plane과 Data Plane 비교 네트워크와 클라우드 시스템을 이해하는 데 있어 가장 핵심적인 두 가지 개념인 Control Plane과 Data Plane에 대해 심도 있게 알아보겠습니다.  1. 기본 개념과 아키텍처Control Plane이란?Control Plane은 네트워크의 '두뇌' 역할을 하는 컴포넌트입니다. 마치 도시의 교통관제 센터처럼, 전체 시스템의 의사결정과 정책 수립을 담당합니다. 라우팅 프로토콜(BGP, OSPF, IS-IS),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SNMP), 그리고 애플리케이션 계층 프로토콜(HTTP, FTP)을 활용하여 네트워크를 제어합니다. Data Plane이란?Data Plane은 시스템의 '근육' 역할을 담당합니다. 실제 데이터의 이동과 처리를 수행하며, 이더넷 네트워크, Wi-Fi 네트워크, 셀룰러 .. 2024. 11. 27.
[BGP, SDN] BGP와 SDN의 진화 안녕하세요? 오늘은 BGP(Border Gateway Protocol)와 SDN(Software Defined Network)의 통합이 가져오는 혁신, 그리고 노키아를 비롯한 주요 벤더들의 상용 솔루션까지 폭넓게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SDN 아키텍처: 세 가지 주요 계층SDN은 네트워크 관리를 더 유연하고 효율적으로 만들기 위해, '세 가지' 주요 계층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세 가지 계층은 앞서 언급했던 Control Plane(컨트롤 플레인)과 Data Plane(데이터 플레인), 그리고 Application Plane(응용 프로그램 계층)입니다. 각 계층은 네트워크를 관리하고 운영하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요. 각 계층별 역할과 연관성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아래 [그림]에 가장.. 2024. 11. 24.
[IPv6] IPv6란 무엇인가? IPv4에서 새로운 인터넷의 새로운 지평, 그 모든 것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인터넷의 미래를 이끌 핵심 기술인 IPv6에 대해 심도 있게 알아보려 합니다. 스마트폰, IoT 기기, 5G 네트워크 등 우리 주변의 모든 것이 인터넷에 연결되는 시대, IPv6는 이러한 변화의 근간이 되는 기술입니다. 자, 그럼 IPv6의 세계로 깊이 들어가 볼까요? 1. IPv6란 무엇인가? IPv6는 'Internet Protocol version 6'의 약자로,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규칙을 정의합니다. 현재 널리 사용 중인 IPv4의 후속 버전이죠. - 주소 체계: IPv6는 128비트 주소 체계를 사용합니다. IPv4의 32비트에 비해 약 340조 조 조 개의 주소를 제공할 수 있어요!- 표기 방식: `2001:0db8:85a3:0000:0000:8a2e:03.. 2024. 10. 14.
SDN(Software-Defined Networking): 네트워크의 혁명, 미래를 여는 열쇠 1. SDN의 개념과 혁신성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Software-Defined Networking, SDN)은 네트워크 관리의 패러다임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는 혁신적인 기술입니다. SDN은 네트워크의 제어 계층을 데이터 계층에서 분리하여 중앙에서 네트워크를 관리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 아키텍처입니다. 이는 전통적인 하드웨어 중심 네트워크 구조에서 벗어나, 소프트웨어를 통해 네트워크를 더 유연하고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해 줍니다. SDN의 핵심 개념:1. 네트워크 추상화: 물리적 네트워크 인프라를 논리적 서비스로 추상화합니다. 2. 중앙 집중식 제어: 단일 지점에서 전체 네트워크를 관리 및 제어합니다. 3. 프로그래밍 가능성: API를 통해 네트워크 동작을 동적으로 프로그래밍할 수 .. 2024. 7.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