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LDP4

[MPLS] LSP(Label Switched Path)란? 안녕하세요. 오늘은 MPLS 네트워크의 핵심인 LSP(Label Switched Path)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LSP(Label Switched Path)란?LSP는 MPLS 네트워크에서 패킷이 전달되는 레이블 기반 경로입니다. FEC(Forwarding Equivalency Class)를 기반으로 설정되며,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 LSP의 핵심 특징IP 라우팅이 아닌 레이블 스위칭 방식 사용회선 기반 네트워크처럼 동작 가능QoS 및 트래픽 엔지니어링(TE) 지원VPN 서비스 제공 기반2. LSP 유형2.1 정적(Static) LSP✅ 특징:수동으로 경로와 레이블 설정보안이 중요한 환경(군사 네트워크 등)에서 사용실제 네트워크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음 2.2 동적(Dynamic.. 2025. 2. 1.
[IP-MPLS] MPLS 완전 정복: 현대 네트워크의 핵심 기술을 파헤치다 안녕하세요, 네트워크 엔지니어링에 관심 있는 여러분! 오늘은 현대 네트워크 기술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MPLS(Multi-Protocol Label Switching)에 대해 아주 자세히 알아보려고 합니다.  MPLS가 무엇인지부터 시작해서, 왜 필요한지, 어떻게 동작하는지, 그리고 실제 네트워크에서 어떻게 활용되는지까지 깊이 있게 다뤄볼 예정이에요.  1. MPLS란 무엇인가? MPLS는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의 약자입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여러 프로토콜에서 사용 가능한 '레이블' 기반의 스위칭 기술이에요. 전통적인 IP 라우팅과는 다르게, 패킷에 레이블을 붙여 빠르게 전달하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MPLS는 1990년대 후반에 개발되었는데요, 당시 인터넷의 .. 2024. 8. 7.
[L2VPN] L2VPN(Layer 2 Virtual Private Network)은 무엇인가?? L2 VPN (Layer 2 Virtual Private Network)은 기업이 서로 다른 지역에 위치한 사무실이나 지점을 마치 하나의 로컬 네트워크에 연결된 것처럼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네트워크 서비스입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L2 VPN의 주요 개념과 작동 방식을 쉽게 설명하겠습니다.L2 VPN의 주요 개념 VLAN 스위치 연결 경험:  사용자의 입장: L2 VPN을 사용하면 사용자는 마치 하나의 VLAN 스위치에 연결된 것처럼 보입니다. 이는 서로 다른 지점에 있는 장치들이 같은 네트워크에서 직접 통신하는 것처럼 작동합니다.서비스 품질 제어:  망사업자(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 트래픽을 관리하기 위해 Policing (트래픽 규제)와 Shaping (트래픽 모양 조정) 기술을 사용합니다. 이를 .. 2024. 5. 18.
[IP-MPLS] IP-MPLS(Multiprotocol Label Switching)란 무엇인가? 1. MPLS(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개요  ● RFC 3031에 정의되어 있음 ● IPv4, IPv6, Ethernet, ATM, Frame-Relay 등 다양한 프로토콜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음 ● MPLS 장비는 미리 결정된 Label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달함 ● 요즘 MPLS만을 이용하는 것만으로는 크게 의미가 없으며 VPN이나 TE 등의 추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기반 기술로 많이 사용함 ● 하나의 물리적인 망에서 여러 개의 독립적인 서비스 수용이 가능함 ● MPLS의 Best-Path 정보는 Routing에 Best-Path가 계산되면 해당 정보를 이용함 ● MPLS Label을 교환하고 Tunnel을 생성하기 위해 Signaling Protocol이 필요.. 2024. 5.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