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BGP11 [BGP] IBGP(Internal BGP) VS EBGP(External BGP) 차이는? 1. IBGP vs EBGP 개념 차이 1) IBGP(Internal BGP) -BGP neighber가 동일한 AS에 속하며 IBGP라우터끼리 직접 연결되지 않아도 됨 -EBGP(다른 AS)로 학습한 경로를 또 다른 AS BGP라우터에게 전파할 용도로 사용되기도 함 -EGBP로 학습한 경로 정보는 neighbor에게만 전달함 -TTL값이 255 2) EBGP(External BGP) -AS와 AS 간에서 라우팅을 업데이트를 하는 데 사용되는 BGP (BGP 네이버가 서로 다른 AS이며 네이버는 직접연결 되어 있어야 함) -TTL값이 1이어서 네이버 끼리 직접연결 되어 있어야 한함 직접 연결되어 있지 않다면 TTL을 늘려서 업데이트가 네이버까지 도달하게 해줘야 함 2. IBGP vs EBGP 설정 차이 .. 2024. 4. 13. [BGP] BGP(Border Gateway Protocol)의 개념과 동작 원리 BGP (Border Gateway Protocol)란 무엇인가? 1) BGP 정의 -BGP(Border Gateway Protocol)은 RFC 1771로 정의 -AS간 네트워크 정보 교환을 위한 정책 기반의 Protocol -Autonomous System( AS) 사이에서 Looping이 없는 Interdomain Routing을 가능하게 하는 Protocol -Public AS : 0~64511 -Private AS : 64512 ~ 65535 -BGP는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라우팅 정보를 전송함 (반대로 IGP는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라우팅 정보를 전송) -TCP 179번을 사용 (Session 맺을 때, Message 보낼 때 등) -서로 다른 AS(autonomous system) 사이에서 사용.. 2024. 4. 13. [라우팅] 외부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송 보통 인터넷과 무선 LAN으로 같은 네트워크 안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다른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보내려면 네트워크를 서로 연결하는 라우터로 전송해야 합니다.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전달하기 위해서는 라우터라고 하는 네트워크 장비가 필요합니다. 라우터는 네트워크와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데, 하나의 라우터는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전달하기 위해 다음 네트워크의 경로를 찾고, 그 경로상에 있는 라우터에게 데이터 전달을 위임하게 됩니다. 이런 과정은 최종 목적지를 찾기까지 연쇄적으로 반복되는데, 이렇게 라우터가 목적지의 경로를 찾아 나가는 과정을 라우팅이라고 합니다. 1. 라우팅 인터넷에서 데이터가 목적지까지 제대로 전달되기 위해서는 라우터가 자신과 연결된 다른 라우터를 찾아나가면서 최종 .. 2023. 7. 31.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