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라우팅테이블11

[네트워크] Control Plane과 Data Plane 비교 네트워크와 클라우드 시스템을 이해하는 데 있어 가장 핵심적인 두 가지 개념인 Control Plane과 Data Plane에 대해 심도 있게 알아보겠습니다.  1. 기본 개념과 아키텍처Control Plane이란?Control Plane은 네트워크의 '두뇌' 역할을 하는 컴포넌트입니다. 마치 도시의 교통관제 센터처럼, 전체 시스템의 의사결정과 정책 수립을 담당합니다. 라우팅 프로토콜(BGP, OSPF, IS-IS),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SNMP), 그리고 애플리케이션 계층 프로토콜(HTTP, FTP)을 활용하여 네트워크를 제어합니다. Data Plane이란?Data Plane은 시스템의 '근육' 역할을 담당합니다. 실제 데이터의 이동과 처리를 수행하며, 이더넷 네트워크, Wi-Fi 네트워크, 셀룰러 .. 2024. 11. 27.
[네트워크 테이블] ARP 테이블과 라우팅 테이블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란?정의동일한 네트워크 대역(LAN 영역)에서 통신하기 위해 필요한 MAC 주소(물리적 주소)를 IP주소를 이용해서 알아오는 프로토콜즉, 논리적인 주소(IP)를 이용해 물리적인 주소(MAC)를 알아오는 프로토콜특징IP 주소와 이에 해당하는 MAC 주소 정보는 각 IP 호스트의 ARP 캐시라 불리는 메모리에 테이블 형태로 저장된 후 패킷 전송 시 사용된다.Windows는 명령 프롬프트(cmd)에 arp -a 명령어, 리눅스의 경우 arp 명령어를 통하여 IP 주소와 MAC 주소의 대응 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반대로 MAC 주소를 IP 주소로 대응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인 RARP(Reverse Address Resolution Protocol).. 2024. 11. 21.
[OSPF] OSPF Passive 인터페이스의 성능 영향(2)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트에서는 OSPF Passive 인터페이스가 네트워크 성능에 미치는 영향과 다양한 네트워크 장비에서의 구성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OSPF Passive 인터페이스의 성능 영향Passive 인터페이스 사용은 네트워크 성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칩니다.1. 대역폭 절약:    - 일반 OSPF 인터페이스: 주기적인 헬로 패킷, DBD, LSR, LSU, LSAck 패킷 교환    - Passive 인터페이스: OSPF 패킷 교환 없음    - 영향: 인터페이스당 약 1-2 Kbps 대역폭 절약 2. CPU 리소스 절약:    - 일반 OSPF 라우터: CPU 사용률의 5-15%를 OSPF 프로세스에 사용    - Passive 인터페이스 적용 후: OSPF 관련 CPU 사용률 2-5% 감.. 2024. 10. 20.
[OSPF] OSPF의 핵심: Passive 인터페이스의 기본 개념과 작동 원리(1) 안녕하세요, 오늘은 OSPF(Open Shortest Path First) 프로토콜의 중요한 기능인 'passive 인터페이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OSPF는 대규모 엔터프라이즈 네트워크에서 널리 사용되는 라우팅 프로토콜로, passive 인터페이스를 이해하면 네트워크 성능을 크게 향상할 수 있습니다. OSPF 프로토콜 기초OSPF는 링크 스테이트 라우팅 프로토콜로, 다음과 같은 핵심 개념을 가지고 있습니다:링크 스테이트 데이터베이스 (LSDB): 네트워크 전체의 토폴로지 정보 저장헬로 프로토콜: 이웃 라우터 발견 및 인접성 유지SPF (Shortest Path First) 알고리즘: Dijkstra 알고리즘을 사용한 최단 경로 계산영역 (Area) 개념: 대규모 네트워크의 효율적 관리OSPF Pas.. 2024. 10.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