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306 [TCP/UDP] UDP(User Datagram Protocol)란 무엇인가? TCP의 단점, 그리고 UDP 지금까지의 얘기만 들어 보면 좋은 점만 한가득인 것 같지만 사실 TCP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확인할 게 너무 많다 보니 전송 속도가 느리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일반적인 글, 사진 등의 데이터라면 큰 문제가 안되는데 목소리, 영상 등 실시간성이 중요한 데이터의 경우 사용자가 한 번 로딩하는 데 오랜 시간을 기다릴 수 있겠죠. 그래서 TCP와 유사한 역할을 수행하지만 속도는 빠른 UDP(User Datagram Protocol)라는 프로토콜이 생겼습니다. 아까 TCP가 3 way handshake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는다고 했던 거 기억나시나요? UDP는 그런 연결 과정 없이 보내는 쪽이 일방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평화로운 TCP와 그저 주기에 바쁜 UDP .. 2023. 7. 27. [TCP/UDP] TCP에 대해서 알아보자! 1. TCP란? -TCP란 신뢰성이 있는 애플리케이션 간의 데이터 전송을 하기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TCP를 이용하면,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에는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구조를 넣어 둘 필요가 없습니다.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는 트랜스포트 계층의 프로토콜의 하나로서 웹이나 이메일, FTP와 같이 정확한 데이터 전달이 필요한 통신에 사용됩니다. TCP는 데이터 전송에 신뢰성을 더하기 위해 데이터를 세그먼트라는 단위로 분할하고, 전송 속도를 조정하며, 데이터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았을 경우 재전송을 하게 됩니다. -TCP에는 애플리케이션 간의 데이터 전달 외에도 데이터를 분할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TCP 데이터 사이즈 최대치를 MSS(Macimun Segment Size.. 2023. 7. 27. [DHCP] IP를 동적으로 할당하는 데 사용하는 프로토콜_DHCP TCP/IP가 제대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에 속한 각 호스트의 IP 어드레스가 중복되지 않아야 합니다. 네트워크의 호스트들에 대해 IP 어드레스를 할당하고 중복되지 않게 관리하는 작업을 사람이 직접 해야 할 경우 상당히 번거로울 수가 있는데, 이것을 자동으로 해 주는 것이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이다. 이 방식을 사용하면 호스트가 네트워크에 연결될 때 IP 어드레스와 서브넷 마스크 등의 정보가 자동으로 설정됩니다. 가정용 초고속 인터넷 라우터는 대부분 DHCP 서버 기능을 가지고 있어서 컴퓨터를 연결하면 바로 프라이빗 IP 어드레스가 할당됩니다. 그 외에도 공공장소의 무료 와이파이 역시 DHCP로 IP 어드레스를 할당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 2023. 7. 26. DNS(Domain Name System)에 대해 알아보자! DNS를 알아보기 전에 도메인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도메인이란? 구글이나 네이버의 웹사이트에 IP 주소를 입력하고 접속하는 사람은 거의 없습니다. 대개는 다른 포털 사이트에서 검색해서 검색 결과의 링크를 타고 웹 사이트를 방문하거나 www.google.com이나 www.naver.com 같은 형태의 영문 주소를 웹 브라우저의 주소 창에 입력해서 웹 사이트에 접속합니다. 구글이나 네이버가 인터넷 공개한 IP 주소 대신 사용하는 www.google.com이나 www.naver.com 같은 형태의 영문 주소를 도메인(Domain) 또는 도메인 이름(Domain name, 또는 호스트 네임, Host name)이라고 합니다. 즉, 도메인이란 숫자 형태의 IP 주소를 사람이 기억하기 쉬운 문자로 표현한 주소입.. 2023. 7. 26. 이전 1 ··· 40 41 42 43 44 45 46 ··· 7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