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etwork tech117 [STP] STP의 동작과정 오늘은 STP의 동작과정에 대해서 설명해 보겠습니다. STP 알고리즘 최종 목적--> Block을 통한 looping 방지 STP 알고리즘의 최종 목적은 Block을 통한 루핑을 방지하는 것입니다. 그러면 그 알고리즘 동작과정에서 알아야 할 포트 역할과 그 과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Port Role 루트 브리지(Root Bridge)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을 수행할 때, 기준 브릿지 (스위치) 논 루트 브리지(Non Root Bridge) •루트 브릿지가 아닌 나머지 브릿지 •Non Root Bridge 당 하나씩의 루트 포트(Root Port)를 가져야 한다. 루트 포트 (Root Port) •루트 브릿지로 가장 빨리갈 수 있는 포트 (= 루트 브릿지와 가장 가까운 포트) 지정 포트 (De.. 2023. 10. 9. [STP, Spanning tree protocol] part2. BPDU Format STP 2번째 시간으로 STP에서 정보를 송수신할 때 필요한 특수 프레임 "BPDU"에 대해서 공부해 보자. BPDU 란? - BPDU는 Bridge Protocol Data Unit - Spanning Tree 정보를 주고받기 위한 특수한 프레임 - Configuration BPDU와 TCN(Topology Change Notification) BPDU가 존재 •Configuration BPDU : Root Bridge가 만들어서 일반스위치(Non Root Bridge)로 보내는 정보 •TCN BPDU : 토폴로지의 변화(네트워크의 다운, 활성화 등등)를 알려주며 일반스위치(Non Root Bridge)에서 만들어져서 Root Bridge로 보내짐 - Root BID(루트 브리지의 BID), Root .. 2023. 10. 8. [STP] Part 1 스패닝 트리의 개념과 이해 STP 종류 다양한 STP 종류가 있지만, 이번 시간에 다루어 볼 프로토콜은 STP와 RSTP에 대해서 알아보자. STP가 필요한 이유 1 그럼, 스위치를 두 대 이상으로 네트워크를 디자인하면 되지 않을까? 이렇게 생각할 수 있다. 한 대라서 문제가 발생한 것이니 두 대 이상의 스위치로 디자인을 하면 하나가 고장나도 하나가 살아있으니 괜찮지 않을까? 괜찮지 않다. 다수의 스위치로 네트워크를 디자인하면 패킷이 네트워크를 따라 계속 전송되기에 네트워크를 마비시킬 수 있다. 이런 상황을 네트워크 루프 (Loop)라 하는데, 이런 루프를 예방하기 위해서 STP가 필요한 것이다. 우선 루프에 대해 조금 더 알아보고 STP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자. 루프(Loop)란? 네트워크 루프라는 단어를 들으면 무엇이 .. 2023. 10. 8. [CIDR, VLSM] CIDR, VLSM에 대해서 알아보자!! 1. CIDR & VLSM 정의 ■ CIDR (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 클래스 개념이 없는 라우팅 기법으로 서브넷 마스트의 길이를 조절 - IP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IP 주소 공간을 정밀하게 나누어 서브넷 지원 - Host 수에 따라 적당한 크기의 IP 주소를 할당하는 방식 ■ CIDR 표기법 - 203.255.208.222/23 (EX) ■ VLSM (Variable Length Subnet Mask) -VLSM은 "Variable Length Subnet Mask"의 준말로, IP 주소를 서로 다른 크기의 서브넷으로 나눌 때 사용하는 네트워크 설계 기술 -기존의 고정 길이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와는 달리, VLSM은 서로 다른 서브넷에.. 2023. 8. 10. 이전 1 ··· 19 20 21 22 23 24 25 ··· 3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