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서버 보안/리눅스 실습17

RAID 문제 발생 테스트_RAID1, RAID5 전제: 하드디스크를 오류를 낸 상황(고의적으로 발생) ▫ RAID1, RAID5는 ‘결함 허용’기능이 있음 ▫ 각 1개씩 디스크를 고장냄. 터미널을 열고 먼저 ls -l /dev/sd* 명령으로 장치 이름으로 확인해 봅니다. df 명령으로 확인하면 기존의 /raidLinear, /raid0, /raid1, /raid5 디렉터리가 마운트 된 정보가 보이지 않습니다. mdadm --detail --scan 명령으로 작동 중인 RAID를 확인합니다. 모든 RAID가 자동 중지 상태입니다. mdadm --run /dev/md1 명령으로 RAID 1 장치를 가동합니다. 그리고 다시 mdadm --detail --scan 명령으로 작동 중인 RAID를 확인합니다. 확인해 보면 /dev/md1은 작동되고 있습니다. .. 2023. 5. 16.
RAID 구축 실습_Linear RAID, RAID0, RAID1,RAID5 구현 오늘은 raid 구축 실습을 해보았습니다. raid 구축을 하기 전에 각 raid 별로 특징을 알아보고 갑니다. Linear RAID, RAID0, RAID1, RAID5 구현 ▫ Linear RAID(/dev/sdb, /dev/sdc) ▫ RAID0(/dev/sdd, /dev/sde) ▫ RAID1(/dev/sdf, /dev/sdg) ▫ RAID5(/dev/sdh, /dev/sdi, /dev/sdj) 위에 있는 Linear RAID, RAID0, RAID1는 터미널에 작업을 완료했습니다. RAID5까지는 같은 방식으로 RAID를 구축하는 것이라 생략하고 아래에 작성한 RAID5 기준으로 설명해 보겠습니다. 위의 명령어는 리눅스에서 소프트웨어 RAID를 구성하는 과정입니다. 첫 번째 명령어에서는 'mda.. 2023. 5. 15.
하드디스크 설치하기_Fdisk, RAID 아래 코드는 리눅스 우분투에서 /dev/sdc 디스크를 파티션 화하는 과정을 예시로 보여드리겠습니다. -fdisk /dev/sdc: /dev/sdc 디스크를 파티션 화하기 위해 fdisk 명령어를 실행합니다. -Device does not contain a recognized partition table.: 해당 디스크에는 파티션 테이블이 없다는 메시지가 나타납니다. -Created a new DOS disklabel with disk identifier 0x65 ef9 fc2.: 새로운 파티션 테이블을 생성하기 위해 DOS disklabel을 사용하겠다는 메시지가 나타납니다. -Command (m for help): n /새 파티션을 만들기 위해 n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Select (default .. 2023. 5. 12.
장치의 설치 및 관리_Proc # /proc 디렉터리 내 주요 파일 - /proc/partiotions : 현재 시스템의 파티션 정보를 저장 /proc/partitions은 리눅스 시스템에서 현재 사용 가능한 디스크 파티션 정보를 제공하는 가상 파일 시스템(Virtual File System)입니다. 이 파일 시스템은 커널에 의해 생성되며, 현재 시스템에 연결된 모든 저장 장치의 파티션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proc/partitions 파일에는 다음과 같은 정보가 포함됩니다. -Major number: 파티션을 구성하는 데 사용되는 주요 장치 번호 -Minor number: 파티션을 구성하는 데 사용되는 부 장치 번호 -Block count: 파티션의 블록 수 -Partition name: 파티션의 이름 이 정보를 사용하여, 시스.. 2023. 5.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