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root bridge2

[STP] STP의 동작과정 오늘은 STP의 동작과정에 대해서 설명해 보겠습니다. STP 알고리즘 최종 목적--> Block을 통한 looping 방지 STP 알고리즘의 최종 목적은 Block을 통한 루핑을 방지하는 것입니다. 그러면 그 알고리즘 동작과정에서 알아야 할 포트 역할과 그 과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Port Role 루트 브리지(Root Bridge)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을 수행할 때, 기준 브릿지 (스위치) 논 루트 브리지(Non Root Bridge) •루트 브릿지가 아닌 나머지 브릿지 •Non Root Bridge 당 하나씩의 루트 포트(Root Port)를 가져야 한다. 루트 포트 (Root Port) •루트 브릿지로 가장 빨리갈 수 있는 포트 (= 루트 브릿지와 가장 가까운 포트) 지정 포트 (De.. 2023. 10. 9.
[STP, Spanning tree protocol] part2. BPDU Format STP 2번째 시간으로 STP에서 정보를 송수신할 때 필요한 특수 프레임 "BPDU"에 대해서 공부해 보자. BPDU 란? - BPDU는 Bridge Protocol Data Unit - Spanning Tree 정보를 주고받기 위한 특수한 프레임 - Configuration BPDU와 TCN(Topology Change Notification) BPDU가 존재 •Configuration BPDU : Root Bridge가 만들어서 일반스위치(Non Root Bridge)로 보내는 정보 •TCN BPDU : 토폴로지의 변화(네트워크의 다운, 활성화 등등)를 알려주며 일반스위치(Non Root Bridge)에서 만들어져서 Root Bridge로 보내짐 - Root BID(루트 브리지의 BID), Root .. 2023. 10. 8.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