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mount4

[우분투 20.04] 리눅스 미니 프로젝트_백업 자동화 사용자 설정하려면 리눅스 관리자인 root 활성화합니다. 비밀번호를 password로 설정한 후 다시 hanbit 사용자로 접속합니다. cron 설정합니다. sudo systemctl status cron 명령으로 cron과 관련 서비스가 작동하는지 확인합니다. Q를 눌러 종료합니다. sudo gedit /etc/crontab 명령으로 예약 파일을 엽니다. # m h dom mon dow user command부터 #까지 여섯 행 삭제합니다. 끝에 ‘1분 2시 15일 모든 월 모든 요일 root 권한 /root/backup.sh 실행’ 의미하는 값 입력합니다. 다음 명령으로 /root 디렉터리에 백업하는 스크립트 파일 생성, 속성 실행 가능하게 변경합니다. gedit backup.sh 명령 실행 및 저장.. 2023. 6. 14.
[NFS]NFS 서버 설치와 운영해보기 오늘은 NFS 서버에 대해서 실습하려고 합니다. NFS 서버는 리눅스 컴퓨터끼리 저장 공간을 공유하는 서비스입니다. windows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끼리 간단하게 폴더(디렉터리)를 공유할 수 있지만, 리눅스는 대부분 명령어로 작업을 해결해야 하므로 windows보다는 좀 더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NFS 서버 구현의 개요도 -구현 순서 1. NFS 서버에 관련 패키지를 설치합니다. 2. NFS 서버의 /etc/exports에 공유할 디렉터리, 접근을 허가할 컴퓨터, 접근 권한을 지정합니다. 3. NFS 서비스를 실행합니다. 4. NFS 클라이언트에 관련 패키지를 설치합니다. 5. NFS 클라이언트에 showmount 명령을 실행해 NFS 서버에 공유된 디렉터리가 있는지 확인합니다. 6. .. 2023. 5. 30.
[LVM] LVM 개념의 이해 ★실습목표 LVM을 구현한다. 관련 명령어 pvcreate, vgcreate, lvcreate 를 익힌다. 실습 흐름도 ◆ LVM 개념 LVM은 Logical Volume Manager의 약자로, Linux 시스템에서 디스크 관리를 용이하게 해주는 기능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입니다. LVM은 물리적인 스토리지 장치를 논리적인 볼륨으로 추상화하여 유연하고 효율적인 스토리지 관리를 가능하게 합니다. 이를 통해 디스크 파티션과 파일 시스템을 관리하는 데 있어서 유연성과 안정성을 제공합니다. -LVM 주요 기능 *유연한 스토리지 관리: LVM은 물리적인 스토리지를 동적으로 확장하거나 축소할 수 있습니다. 볼륨 그룹과 논리적인 볼륨의 크기를 필요에 따라 조정할 수 있어 스토리지 관리의 유연성을 제공합니다. *스토리.. 2023. 5. 22.
RAID 문제 발생 테스트_RAID1, RAID5 전제: 하드디스크를 오류를 낸 상황(고의적으로 발생) ▫ RAID1, RAID5는 ‘결함 허용’기능이 있음 ▫ 각 1개씩 디스크를 고장냄. 터미널을 열고 먼저 ls -l /dev/sd* 명령으로 장치 이름으로 확인해 봅니다. df 명령으로 확인하면 기존의 /raidLinear, /raid0, /raid1, /raid5 디렉터리가 마운트 된 정보가 보이지 않습니다. mdadm --detail --scan 명령으로 작동 중인 RAID를 확인합니다. 모든 RAID가 자동 중지 상태입니다. mdadm --run /dev/md1 명령으로 RAID 1 장치를 가동합니다. 그리고 다시 mdadm --detail --scan 명령으로 작동 중인 RAID를 확인합니다. 확인해 보면 /dev/md1은 작동되고 있습니다. .. 2023. 5. 16.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