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host2

DNS(Domain Name System)에 대해 알아보자! DNS를 알아보기 전에 도메인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도메인이란? 구글이나 네이버의 웹사이트에 IP 주소를 입력하고 접속하는 사람은 거의 없습니다. 대개는 다른 포털 사이트에서 검색해서 검색 결과의 링크를 타고 웹 사이트를 방문하거나 www.google.com이나 www.naver.com 같은 형태의 영문 주소를 웹 브라우저의 주소 창에 입력해서 웹 사이트에 접속합니다. 구글이나 네이버가 인터넷 공개한 IP 주소 대신 사용하는 www.google.com이나 www.naver.com 같은 형태의 영문 주소를 도메인(Domain) 또는 도메인 이름(Domain name, 또는 호스트 네임, Host name)이라고 합니다. 즉, 도메인이란 숫자 형태의 IP 주소를 사람이 기억하기 쉬운 문자로 표현한 주소입.. 2023. 7. 26.
OSI 7계층 이해하기_OSI 7계층 기준(프로토콜, 사용장비) 앞에서 OSI 7 계층과 TCP/IP 프로토콜 스택에 대한 개괄적인 내용을 공부했습니다. 이번 장에서는 OSI 7 계층을 각 계층별로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OSI 7 계층은 참조형 모델이고 실제로 사용하는 프로토콜은 TCP/IP 프로토콜 스택으로 구현되어 있지만 조금 더 계층별로 자세히 다루기 위해 여기서는 OSI 7 계층 기준으로 나누어 설명해 보겠습니다. 1 계층(피지컬 계층, Physical) 1 계층은 물리 계층으로 물리적 연결과 관련된 정보를 정의합니다. 주로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습니다. 1 계층의 주요 장비로는 허브, 리피터, 케이블, 커넥터, 트랜시버, 탭이 있습니다. 허브, 리피터는 네트워크 통신을 중재하는 네트워크 장비입니다. 케이블과 커넥터는 케이블 본.. 2023. 3. 1.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