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TP6 [IP-MPLS] VPLS(L2VPN)이란? 안녕하세요! MPLS 네트워크의 Layer 2 VPN 서비스 중 하나인 VPLS(Virtual Private LAN Service)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1. VPLS(Virtual Private LAN Service)란?VPLS는 Layer 2 VPN 기술로, MPLS 네트워크를 통해 여러 사이트를 하나의 LAN처럼 연결하는 서비스입니다.🔸 핵심 특징✅ Layer 2 투명 서비스모든 L2 트래픽(ARP, STP 등) 전송 가능고객의 라우팅 정책 유지 (IP, IGP, BGP 등과 무관)MPLS 코어망 변경의 영향 없음 ✅ MAC 기반 포워딩MAC 주소 학습 후 FDB(Forwarding Database) 기반 전송브로드캐스트 트래픽 플러딩 지원STP(Spanning Tree Protocol) 연동 가.. 2025. 2. 1. [VLAN] VLAN(Virtual LAN) 개념부터 실전 구성 1. VLAN이란? VLAN(Virtual Local Area Network)은 단일 네트워크 장비 내에서 네트워크를 논리적으로 나눠 관리와 보안, 확장성을 극대화하는 기술입니다. VLAN의 주요 목적 - 효율적인 네트워크 트래픽 관리:** 브로드캐스트 도메인 분리로 불필요한 트래픽 차단. - 보안 강화: 부서별로 VLAN을 나누면 내부 공격 시에도 피해를 최소화 가능. - 확장성 확보: 물리적 변경 없이 논리적 분리로 네트워크 설계를 유연하게 변경. - 비용 절감: 추가 장비 없이 기존 네트워크 인프라 최적화. 2. VLAN의 기본 구성 요소 2.1 VLAN ID - VLAN ID는 1~4094 범위로 구성되며, 특정 VLAN ID는 특수 용도로 예약되어 있음. - V.. 2024. 11. 19. [OSPF] SPF(Shortest Path First) 알고리즘_Dijkstra algorithm 1. SPF 알고리즘 정의 최단 경로 알고리즘 (Shortest Path Algorithm, SPF) ㅇ 그래프 이론에서, 최단 경로를 찾는 그래프 알고리즘들을 총칭 - 주로, 단일 출발지로부터 모든 정점까지의 최단 경로를 찾는 탐색 알고리즘 Dijkstra’s “Shortest Path First” Algorithm ■ Network topology와 모든 Node 밖의 link cost값을, 모든 Node(라우터)들이 알게 함. -위 “Link-state”정보를 Broadcast (flooding)함으로써 모든 라우터에게 전달함 -모든 라우터들이 동일한 정보를 갖게 됨. ■ 각 노드를 source로 해서, 모든 노드로의 최단경로를 계산함. -각 노드(라우터)가 각자의 forwarding.. 2024. 4. 12. [STP, Spanning tree protocol] part2. BPDU Format STP 2번째 시간으로 STP에서 정보를 송수신할 때 필요한 특수 프레임 "BPDU"에 대해서 공부해 보자. BPDU 란? - BPDU는 Bridge Protocol Data Unit - Spanning Tree 정보를 주고받기 위한 특수한 프레임 - Configuration BPDU와 TCN(Topology Change Notification) BPDU가 존재 •Configuration BPDU : Root Bridge가 만들어서 일반스위치(Non Root Bridge)로 보내는 정보 •TCN BPDU : 토폴로지의 변화(네트워크의 다운, 활성화 등등)를 알려주며 일반스위치(Non Root Bridge)에서 만들어져서 Root Bridge로 보내짐 - Root BID(루트 브리지의 BID), Root .. 2023. 10. 8.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