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OS4

CLI와 GUI의 차이점은? CLI(Command Line Interface)와 GUI(Graphical User Interface)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두 가지 유형입니다. CLI는 텍스트 기반 인터페이스이며, 키보드를 통해 명령어를 입력하여 컴퓨터와 상호작용합니다. GUI는 그래픽 기반 인터페이스이며, 마우스를 통해 메뉴, 버튼, 아이콘 등의 그래픽 요소를 클릭하여 컴퓨터와 상호작용합니다. CLI는 주로 프로그래밍, 서버 관리, 시스템 관리 등과 같은 고급 작업에 사용됩니다. CLI는 명령어와 구문이 복잡할 수 있으며, 학습 곡선이 높을 수 있지만, 배치 작업을 자동화하고 복잡한 작업을 빠르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또한, CLI는 GUI보다 시스템 자원을 적게 사용하므로, 시스템이 느려질 가능성이 적습니다. GUI는 일반적인 .. 2023. 4. 27.
Unix 운영체제_unix 기반 시스템 Unix 기반 시스템 1) 개요 ▪ 유닉스 시스템 개요 ✓ 1969년 미 AT&T 벨 연구소에서 개발된 운영체제 ✓ 1973년(Dennis Ritchie) 커널의 일부를 제외하고 고급언어인 C로 작성 ✓ Open System ✓ 다양한 플랫폼에 탑재 ✓ 멀티 유저, 멀티태스킹 환경을 지원 ▪ 유닉스 시스템의 용도 ✓ 고성능 I/O ✓ 멀티태스킹 서버 ✓ SMTP 서버 ✓ 뉴스 서버 ✓ CPU 집약적인 애플리케이션 실행 2) 종류 ▪ System V 계열 : Unix의 표준이 되는 버전. Business 및 서비스 중심의 OS. 리눅스도 SVR 계열임. ▪ SunOS : BSD 계열. 현재는 BSD 중심의 운영체제 ▪ Solaris : System V 계열. 기업용이나 학술용 ▪ HP-UX : System.. 2023. 3. 30.
운영체제 개요(역할과 기능) 운영체제의 역할 및 기능 1) 운영체제의 개요 ▪ 정의 ✓ 사용자와 하드웨어 사이의 중간 매개체로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을 제어하고, 자원을 할당 및 관리하며, 입출력 제어 및 데이터 관리와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 역할 ✓ 하드웨어 및 사용자, 응용 프로그램, 시스템 프로그램 사이에서 인터페이스를 제공 ✓ 프로세서, 메모리, 입출력장치, 통신장치 등 컴퓨터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려고 조정·관리 ✓ 메일 전송, 파일 시스템 검사, 서버 작업 등 높은 수준의 서비스를 처리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제어 ✓ 다양한 사용자에게서 컴퓨터 시스템을 보호하려고 입출력을 제어하며 데이터를 관리 2) 운영체제의 역할에 따른 기능 ▪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 사용자의 입장에서 본 운영체제.. 2023. 3. 24.
운영체제와 기본 소프트웨어 구조 ■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개념 및 특징 개념 - 컴퓨터의 모든 운영을 관리하고 제어하기 위한 기본 체제 - 컴퓨터 시스템의 성능을 최대로 발휘하기 위한 시스템 소프트웨어 목적 - 사용자에게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업무 처리의 생산성 향상 - 시스템 향상과 관련한 OS의 평가 기준 . 처리 능력 (Throughput) : 단위 시간 내에 처리할 수 있는 작업의 양 . 응답 시간 (Turn Around Time) : 처리 요구 시점부터 결과를 얻을 때까지의 기간 . 사용 가능도 (Availability) : 얼마나 빠른 시간 내에 사용이 가능한지의 정도 . 신뢰도 (Reliability) : 엄마나 정확하게 주어진 기능을 수행하는지를 나타냄 ■ 운영체제의 구성 제어 프로.. 2023. 3. 2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