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정보보안4

[네트워크 예방 조치] 네트워크 문제 해결 후 4가지 필수 예방 조치 1. 정기적인 네트워크 장비 재시작정기적인 네트워크 장비 재시작은 메모리 누수 방지, 시스템 과부하 예방 등 네트워크 성능 최적화에 도움이 됩니다. 이는 주기적으로 컴퓨터를 재부팅하는 것과 유사하며, 네트워크 장비의 효율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합니다. 상세 절차:1. 재시작 일정 정하기   - 고정된 스케줄을 설정해 일관성을 유지합니다. 예를 들어, 주기적으로 장비의 부하가 적은 시간대(일요일 밤 10시 등)에 재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 스마트폰 달력 앱에 알림을 설정해 잊지 않도록 합니다. 2. 공유기(라우터) 재시작   - 전원 케이블을 안전하게 분리합니다.    - 30초 정도 기다린 후 다시 연결합니다.    - 모든 표시등이 정상적으로 켜질 때까지(보통 1-2분 소요) 기다립니다.    .. 2024. 10. 5.
정보 보안 기초 개념과 특징 1. 개념 정보보안에서 많이 사용되는 3가지 요소가 있다. 해당 3가지 요소를 CIA Triad라고 많이 부르며 3가지 요소에는 기밀성(Confidentiality), 무결성(Integrity), 가용성(Availability)으로 나눌 수 있다. 그럼 3가지 요소인 CIA Triad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기밀성(Confidentiality) 기밀성이란 특정 정보에 대해서 허가된 사용자 또는 대상에 대해서만 확인이 가능해야 한다. 즉, 허가받지 않은 사용자 혹은 대상에 대해서는 접근이 되지 않아야 하며, 만약 접근이 된다면 해당 정보에 대해서는 기밀성이 깨졌다고 한다. 2) 무결성(Integrity) 무결성이란 특정 정보에 대해서 허가된 사용자 또는 대상에 대해서만 수정 및 삭제등.. 2023. 3. 27.
정보 보안 용어(8) 사이버보안 대연합 - 기존 CISO 협의체, 침해사고대응팀협의회 등 민간분야 정보보호 협·단체와의 전략적 협력을 통해 사이버보안이라는 공동의 목표로 ’21년 11월부터 운영 ※ 민·관 채널 8명으로 구성된 운영위원회와 사이버위협 대응 특성을 반영한 3개 분과(정책·제도, 탐지·공유, 대응·역량)로 구성 사이버 위협 인텔리전스 네트워크 - 국내 사이버 위협 이슈 공유, 침해사고 공동대응, 신뢰관계 강화 등을 목표로 ‘14년 12월부터 운영 - 2022년부터 2년간의 기수제로 운영하고 있으며, 최근 제 1기 국내 및 국외 사이버 위협 인텔리전스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위협정보 공유 ※ 참여기업(10개) : (국내)NSHC, S2W, 안랩, 이글루시큐리티, 이스트시큐리티,(국외)MS, 맨디언트, 카스퍼스키, 트렌.. 2023. 3. 23.
정보 보안 용어(6) 모바일 사이버치료체계 - 악성앱 감염 스마트폰 이용자 SMS 또는 보안앱을 통해 감염사실을 알리고 치료를 제공하는 서비스(‘15.4월 ~) ※ 참여 이동통신사 : KT, SKT, LG U+ 전용백신 - 일반백신과 달리 특정 악성코드만을 치료하는 백신프로그램으로, PC에 설치되지 않고 메모리상에 수행되어 치료 속도가 빠른 백신프로그램 - 치료체계의 감염알림 팝업을 통해 좀비PC 이용자에게 전용백신 제공 감염PC 사이버치료체계 - 악성코드 감염 PC 이용자에게 팝업창을 통해 악성코드 감염사실을 알리고, 전용백신을 제공하여 치료(‘11.1월~) 웹하드 악성코드 탐지시스템 - 7.7 디도스공격(‘09년), 6.25 사이버공격(’13년) 등 국가적 침해사고 유포경로로 악용되는 웹하드에 대한 악성코드 유포를 탐지하.. 2023. 3.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