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바이트2

[통신단위]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속도와 크기 순서 데이터 전송 단위는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속도 단위이다. 전기통신에서 데이터 전송 속도는 평균 비트, 문자, 심벌(보레이트) 수, 또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통신 링크를 통해 통과하는 특정 시간당 시간당 데이터 블록 수이다. 일반 데이터 속도 단위는 여러 차례의 초당 비트(bit/s)와 초당 바이트(B/s)이다. 이를테면 현대 가정의 고속 인터넷 연결의 데이터 속도는 보통 Mbit/초(메가비트/초)로 표현된다. https://ko.wikipedia.org/wiki/%EB%8D%B0%EC%9D%B4%ED%84%B0_%EC%A0%84%EC%86%A1_%EB%8B%A8%EC%9C%84 데이터 전송 단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데이터 전송 단위는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2024. 6. 14.
빅데이터의 개념과 특징 1. 빅데이터의 개념 • 빅데이터(Big Data) –디지털 환경에서 생성되는 데이터 –과거 아날로그 환경에서 생산되던 데이터에 비해 그 규모가 방대하고 생성 주기도 짧으며 수치 데이터뿐만 아니라 문자와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대규모 데이터 • 빅데이터와 기존 일반 데이터의 차이점 – 빅데이터는 다양한 방법과 원천, 환경으로부터 수집된 데이터 의미 –빅데이터는 병렬 처리를 위한 컴퓨터 시스템이 필요할 정도로 큰 데이터임 – 빅데이터는 비즈니스 혹은 연구에서 유용한 가치 창출 – 빅데이터가 창출하는 가치를 보장하기 위해서는 타당성(Validity)과 신뢰성(Veracity)을 확보해야 함 • 데이터 단위 -비트(Bit) : 가장 작은 데이터 단위 -8비트 = 1바이트(Byte), 영어나 숫자는 1바이트, .. 2023. 4. 5.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