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무결성3

관계형 데이터 모델_DBMS (2) 1. 릴레이션 1) 릴레이션(relation) 릴레이션은 데이터베이스에서 테이블(Table)이라고도 불리는 데이터 구조입니다. 릴레이션은 행과 열의 모양을 가지며, 각 열은 특정 유형의 데이터를 포함하고, 각 행은 해당 열에 대한 데이터의 값입니다. 릴레이션은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의 중요한 요소이며, SQL(Structured Query Language)과 같은 쿼리 언어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조작하고 검색하는 데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고객 정보를 저장하는 릴레이션의 경우, 각 행은 고객의 정보를 나타내고, 각 열은 고객의 이름, 주소, 전화번호 등과 같은 특정 유형의 정보를 나타냅니다. ▪ 릴레이션의 구성요소 : 기본 구조는 릴레이션(relation) ▪ 릴레이션은 튜플(tuple : .. 2023. 4. 3.
해시 함수_Hash Function(정보보안기사) 1. 해시함수 개념 해시 함수는 임의의 길이의 데이터를 고정된 길이의 데이터로 매핑하는 함수입니다. 이때 매핑된 결과물은 해시 값 또는 해시 코드라고도 부릅니다. 해시 함수는 해시 테이블, 메시지 다이제스트, 암호학적 해시 등에 사용됩니다. 해시 함수는 입력 데이터에 대해 고정된 크기의 출력을 생성하며, 같은 입력 값에 대해서는 항상 같은 해시 값이 생성됩니다. 그러나 다른 입력 값에 대해서는 가능한 한 다른 해시 값이 생성되어야 합니다. 이러한 특징을 "결정론적"이고 "단방향"이라고 합니다. 결정론적이란 입력 값이 같으면 항상 같은 출력을 보장한다는 의미이고, 단방향이란 출력 값을 통해 입력 값을 유추할 수 없다는 의미입니다. 해시 함수는 데이터의 고유한 지문(fingerprint)을 만들어 내기 때문.. 2023. 3. 30.
정보 보안 기초 개념과 특징 1. 개념 정보보안에서 많이 사용되는 3가지 요소가 있다. 해당 3가지 요소를 CIA Triad라고 많이 부르며 3가지 요소에는 기밀성(Confidentiality), 무결성(Integrity), 가용성(Availability)으로 나눌 수 있다. 그럼 3가지 요소인 CIA Triad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기밀성(Confidentiality) 기밀성이란 특정 정보에 대해서 허가된 사용자 또는 대상에 대해서만 확인이 가능해야 한다. 즉, 허가받지 않은 사용자 혹은 대상에 대해서는 접근이 되지 않아야 하며, 만약 접근이 된다면 해당 정보에 대해서는 기밀성이 깨졌다고 한다. 2) 무결성(Integrity) 무결성이란 특정 정보에 대해서 허가된 사용자 또는 대상에 대해서만 수정 및 삭제등.. 2023. 3. 27.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