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동적프로토콜2

[OSPF] OSPF(Open Shortest Path First)의 개념 Link State Routing Protocol • OSPF의 정의 자율시스템(AS) 내부의 라우터들끼리 라우팅 정보를 교환하는 Link-State Routing Protocol Area 개념을 이용하여 독립적으로 구역에 라우팅 환경을 설정하는 방식 • OSPF 특징 -Hop Count의 제한이 없어 네트워크의 크기도 제한이 없으며 중·대규모 네트워크에 사용된다. -각 라우터마다 전체 네트워크의 정보를 가지고 있다 -네트워크에 변화가 있을 경우 Routing 정보를 교환 -Dijkstra 및 SPF Algorithm을 이용하여 최단 경로를 탐색 • OSPF 계층구조(계층적 라우팅) 네트워크의 각 자율시스템(AS)를 다시 영역(Area)로 나눠 계층적으로 관리하는 방식 Routing-Table의 엔트리 .. 2024. 3. 16.
[DHCP] IP를 동적으로 할당하는 데 사용하는 프로토콜_DHCP TCP/IP가 제대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에 속한 각 호스트의 IP 어드레스가 중복되지 않아야 합니다. 네트워크의 호스트들에 대해 IP 어드레스를 할당하고 중복되지 않게 관리하는 작업을 사람이 직접 해야 할 경우 상당히 번거로울 수가 있는데, 이것을 자동으로 해 주는 것이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이다. 이 방식을 사용하면 호스트가 네트워크에 연결될 때 IP 어드레스와 서브넷 마스크 등의 정보가 자동으로 설정됩니다. 가정용 초고속 인터넷 라우터는 대부분 DHCP 서버 기능을 가지고 있어서 컴퓨터를 연결하면 바로 프라이빗 IP 어드레스가 할당됩니다. 그 외에도 공공장소의 무료 와이파이 역시 DHCP로 IP 어드레스를 할당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 2023. 7. 26.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