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twork tech/VRRP

[VRRP] VRRP(Virtual Router Redundancy Protocol)_3

by 어깨 :) 2024. 5. 11.
728x90

VRRP 기능에 대해서 말해보자.

 

 

 

 

Owner

 -VIPR1의 실제 IP를 사용하는 경우 R1Owner라 부름

 -VRRP Master 선정 시 Priority 값은 255255를 가지며 Preempt mode=true라 가정함(설정된 값은 무시)

 

 

 

Track

 -VRRP가 동작하지 않는 인터페이스에 장애발생 시 Priority를 변동해 Active를 넘겨줌

 -본인이 가지고 있는 포트만 감지됨

 -인터페이스뿐만 아니라 다른 기능도 있음. (Ex- Default-Gateway)

 

 

 

 

Delay

 -R1이 되살아났을 때 R1 Interface 상태를 바로 UP 시키지 않고 일정 시간 Delay를 주는 것이 좋음

  IGP ProtocolConvergence가 완료되어서 패킷을 보낼 준비가 될 때까지

              Interface Up event를 지연시킴 (Default : 5)

 

 

SLA(Service Level Agreement)

 -ICMP는 도달성 테스트만 가능하지만 SLAProve로 초당 보내는 개수를 정할 수 있음

 -성능 측정하려는 목적 (품질 측정)

 -특정 Action을 취할 수 없음 (측정만 가능)

 -가용성을 높이는 목적  (고가용성)

 -Sender  Prove를 송신하는 장비

  Responder  Sender에게 응답

 

 

 

EEM(Embedded Event Manager)

 -장애 발생이 감지되면 관리자가 아닌 특정 Config로 정책을 수행

 -VRRP에서 사용

  VRRPTrap은 직접 연결된 Interface만 해당

 -장비의 특정 이벤트 설정, 실시간 감시

 -특정 이벤트 발생 시 미리 설정된 정책 실행

 -원하는 설정대로 특정 이벤트가 발생 시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음

 -SLAEvent를 감지하고 그에 대한 정책을 EEM으로 처리함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