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버 보안/리눅스 이론

RAID에 대해 공부(feat. linux, chatGPT)

by 어깨 :) 2023. 3. 17.
728x90

RAID에 대해 공부하기 전에 RAID는 리눅스와 어떤 관계가 있을까?

 

RAID와 Linux는 강력한 조합으로, Linux 운영 체제는 RAID 기술을 널리 지원하며, 이를 통해 데이터의 안정성과 가용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Linux에서는 여러 종류의 RAID 레벨을 지원하며, 이를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RAID로 구성할 수 있습니다.

소프트웨어 RAID는 Linux에서 내장되어 있는 기능으로, 하드웨어 RAID는 별도의 RAID 컨트롤러 카드를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습니다.

Linux에서는 mdadm이라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소프트웨어 RAID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mdadm은 다양한 RAID 레벨을 지원하며, RAID 구성, 모니터링, 오류 복구 등의 기능을 제공합니다.

또한, Linux에서는 LVM(Logical Volume Manager)을 사용하여 RAID 구성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LVM은 디스크 파티션의 크기나 위치를 변경하는 등의 유연한 관리 기능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Linux는 다양한 RAID 기술을 지원하며,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 RAID로 구성할 수 있습니다. 또한, LVM을 활용하여 RAID 구성을 유연하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들을 통해 Linux는 안정적이고 가용성 높은 데이터 스토리지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1. RAID 정의

RAID는 "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s"의 약어로, 여러 개의 하드 드라이브를 하나의 논리적 드라이브로 결합하여 성능 향상 및 데이터 복원력 향상을 제공하는 기술입니다. RAID는 하드 드라이브의 손상, 장애, 또는 오작동으로부터 데이터를 보호하고 안정성을 높이는 데 사용됩니다.

RAID는 다양한 레벨로 분류됩니다. 각 레벨은 다른 방식으로 데이터를 조직하고 다른 수준의 성능 및 복원력을 제공합니다.

RAID는 서버, 데이터베이스, 영상 편집 및 스토리지 작업 등 여러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RAID를 사용하면 데이터의 안정성과 성능을 모두 향상할 수 있습니다.

 

2. RAID 개요
▪ Raid의 출현
✓저가격 디스크 리던던트 어레이(Redundant Array of Inexpensive Disks) 
즉, RAID라고 하는 시스템은 공식적으로는 1987년에 버클리대학 연구원들이 정식으로 정의


▪ 복수 배열 독립 디스크
▪ 데이터를 분할해서 자기 디스크 장치에 대해 병렬로 데이터를 읽는 장치 또는 방식
▪ 여러 개의 하드디스크를 마치 1개의 하드디스크처럼 다룰 수 있는 기술
▪ SCSI하드처럼 빠른 속도를 저렴한 가격으로 구현하기 위해 등장
▪ RAID 시스템은 개발 당시엔 성능을 향상하는 목적으로 개발, 현재는 신뢰성에 대한 요구 높아짐

 

3. RAID 목적 및 관리방법
▪ 목적
✓데이터 전송 속도 향상
✓대용량 디스크 확장 가능
✓I/O요구 처리율 향상
✓결함 허용도 향상


▪ 관리방법
✓복수 디스크에 데이터를 처리하는 미러링/이중화
✓비트/블록 단위로 차례별로 디스크를 처리하는 스트라이핑
✓데이터와 별개의 디스크를 처리하는 패리티
✓스트라이핑과 유사한 처리를 하지만 디스크를 이용할 수 없을 때 그다음 디스크에서 처리하는 스패닝/스캐터링

 

4. RAID 레벨

 

 

5. RAID 종류

▪ RAID 0 : 데이터의 전송 속도는 매우 높으나 데이터의 중복성이 없으므로 병렬로 구성된
디스크의 일부에 장애가 발생할 경우 데이터의 복구가 불가능합니다.


▪ RAID 1 :미러 기능을 말하는데 즉, 첫 번째 하드의 내용과 똑같이 2번째 하드를 그대로 항상 복사합니다.


▪ RAID 2 : Hamming Code라는 특수 기법을 사용하여 디스크 장애에 대한 인지와 대응을 하는 RAID 기술로 학문적인 수준의 관심권에만 머물 뿐 실용화되지는 않은 기술입니다.


▪ RAID 3 : 여러 개의 디스크에 데이터를 나누어 기록하고 정해진 디스크에 패리티정보를 저장하는 RAID 기술로 데이터는 Block, Byte 또는 Bit 단위로 저장됩니다.


▪ RAID 4 : RAID-3 기술과 유사하나 용량이 적은 파일의 전송 시 성능을 향상하도록 고안했습니다.


 RAID 5 : RAID-3나 RAID-4의 단점을 보완한 기술로 패리티 정보를 여러 개의 디스크에 나누어 기록함으로써 데이터를 저장할 때 발생할 수 있는 패리티 디스크의 병목 현상을 방지하여 RAID-3나 RAID-4에서 나타나는 성능 저하를 상당 부분 완화했습니다.

 

RAID 6 : RAID 6은 RAID 5와 비슷하지만 다른 디스크를 값에 분포되어 있는 2차 parity 구성을 포함함으로써 매우 높은 장애 대비 능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디스크가 최대 2개까지 장애가 난 디스크와의 동기화가 RAID 5보다는 느립니다. Disk는 최소 4개가 필요합니다.

 

 

 


RAID 1+0 : 속도와 안정성, 이 두 가지를 만족하는 기능입니다.

 

 

 

 

 

https://www.dknyou.com/blog/?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7342927&t=board 

 

RAID가 뭐에요? : 동국시스템즈 포탈 디케이앤유

안녕하세요. 동국시스템즈 대외사업지원팀에서 Quotation 업무를 맡고 있는 이빛나✨입니다.코로나19 거리 두기 4단계로 현재 재택 근무를 하고 있어서 영상이 아닌 블로그로 인사를 대신하겠습니

www.dknyou.com

 

728x90

'서버 보안 > 리눅스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Unix 운영체제_unix 기반 시스템  (0) 2023.03.30
리눅스 기본 명령어 모음  (0) 2023.03.28
리눅스의 개요(feat. 유닉스, 커널)  (2) 2023.03.14
RWX  (0) 2023.03.07
linux 명령어 공부하기!!  (0) 2023.0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