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twork tech/OSPF

[OSPF] What’s ASBR/ABR? ASBR과 ABR은 무엇인가?

by 어깨 :) 2024. 4. 12.
728x90

1. ABR과 ASBR의 정의

1) ASBR(Autonomous system boundary router)

- ASBR   :  OSPF와 다른 라우팅 프로토콜(Connected, Static, RIP, IS-IS, BGP) 혹은 다른 OSPF  라우팅 프로세스 간의 게이트웨이(redistribution)로 동작하는 라우터

 

 

외부 경로를 OSPF 도메인으로 재배포하는 라우터

 

1. ASBR (Automous System Boundary Router)

  ㅇ 네트워크와의 경계점에 위치하는 라우터로써,
     - 자신이 속한 라우팅 도메인과는 다른 라우팅 프로토콜을 사용


2. ASBR 특징

  ㅇ 1 이상의 다른 AS와 연결되며,
     - 다른 AS의 라우터들과 라우팅 정보를 교환하며,
     - 교환된 라우팅 정보를 자신의 AS에 있는 라우터들에게는 그 내용을 광고(Advertisement)하게 됨 

  ㅇ 통상 OSPF 뿐만 아니라 RIP, BGP 등 다른 라우팅 프로토콜도 동시 수행이 가능한 라우터 임

 

 

 


2) ABR(Area border router)

 

- ABR   : 자신의 인터페이스가 여러 Area에 속하는 라우터

두 개 이상의 영역에 속하는 라우터

 

1. 지역 경계 라우터, 영역 경계 라우터 (Area Border Router, ABR)

  ㅇ OSPF 라우터 중 여러 Area에 걸쳐서 있는 라우터로써,
     - 해당 영역(Area)의 정보를 요약하며,
     - 요약된 정보를 다른 영역(Area)의 라우터에게도 알려 줌
     - 즉, 영역 간의 라우팅 정보를 중계함


2. ABR 라우터 주요 역할

  ㅇ 통상의 Area 와 Backbone Area를 연결
     - 이 두개의 Area 간에 라우팅 관련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게 됨
 
  ㅇ 한편, ISIS  라우팅 프로토콜에서는,
     - Level 1 및 Level 2 라우팅 모두를 수행하는,
     - L1/L2 라우터(☞ IS-IS Router)가 바로 이에 해당 함


3. LSD (Link State Database)

  ㅇ ABR 라우터들은 각각의 Area에 대해 각기 저마다 다른 Link State Database를 유지하게됨

 

 


 

2. ABR과 ASBR의 예시

 

 

 



OSPF는 2 계층 구조로 되어 있으며, backbone 역할을 하는 area 0과 기타 area 구조로 나눕니다.

 

area 간에 통신을 하려면 반드시 backbone area를 통과해야 하기에, backbone area가 transit area(경유지) 역할을 합니다.

 

위의 [그림 9]를 볼 때, router C는 area 0(backbone)에도 속하고, area 1에도 속하는 router인데, 이런 router는 ABR(area border router)라고 합니다.

 

즉 [그림 9]에서 ABR 역할을 하는 router는 3대(C, D, E)가 존재합니다.


그럼 왜 이렇게 area를 구분할까요?

 

그 이유는 OSPF는 각 area 별로 SPF(shortest path tree)를 만들기 때문입니다. SPF란 switch에서 배운 STP와 유사하게, 가장 최단거리 경로로 tree를 만들어서 그 경로를 통해 패킷을 전송하게 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이 tree 를 만들 때 router의 CPU와 memory가 열심히 연산을 해야 하는데, 이 연산을 하다가 router가 뻗어 버리면 큰 문제가 될 것입니다. 
그렇기에 area 별로 구분해서 tree 계산을 하게 된다면 router는 계산할 때 부담이 감소됩니다. 

 

다음 포스팅 때 SPF 알고리즘에 대해서 말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