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twork tech/ARP

[ARP] 왜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가 필요한가?

by 어깨 :) 2023. 11. 19.
728x90

 

왜 ARP프로토콜을 활용하여 IP주소에 대응시켜야 할까요? 많은 분들이 데이터를 보내고자 하는 PC의 IP주소만 알고 있다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고 오해를 하시는데 아닙니다. 위에서 언급했듯 IP주소는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호스트나 라우터 장비의 인터페이스에 할당된 주소입니다. 즉 PC에 할당된 주소가 아니라 네트워크에 할당된 주소입니다. 그러므로 IP를 활용하여 메시지를 보내고자 하는 PC의 네트워크까지만 접근할 수 있습니다. 위의 그림처럼 우체국이 A빌딩에 가서 누구에게 편지를 전달해야 하는지 모르는 경우가 되는 것입니다. 그렇기에 ARP프로토콜을 활용하여 MAC 주소를 알아내서 정확한 위치를 찾아내야 하는 것입니다.

 

왜 IP주소 -> MAC 주소의 절차를 거쳐서 통신을 해야 할까요? IP주소나 MAC 주소만을 활용하여 통신한다면 좀 더 실용적이지 않을까요? 하지만 IP주소와 MAC주소만을 활용하여 통신을 불가능합니다.

 

먼저 IP주소만으로 통신을 한다고 가정해봅시다. IP주소는 가변적이기 때문에 계속해서 바뀔 수 있습니다. 사람의 이름처럼 동명이인이 될 수도 있고 개명을 할 수도 있죠. 이 IP주소만으로 통신을 하기에는 불가능합니다. 그렇기에 사람의 주민등록번호와 같은 랜카드 고유번호인 MAC 주소가 필요한 것입니다. 동명이인일지라도 주민등록번호를 통해 사람을 구분 지을 수 있는 것처럼요. 

 

반대로 MAC 주소만으로 통신을 할 수도 없습니다. 이 경우 라우터에 통신을 할 수 있는 전 세계의 모든 PC의 MAC 주소를 다 등록해주어야 할텐데 저장공간이 버텨내지를 못하겠죠. 이러한 문제들로 인해 여러대의 PC를 묶어 IP주소를 만들고 MAC주소를 거치게 되는 ARP가 탄생하게 되었습니다.

 

https://coding-factory.tistory.com/720

 

[Network] ARP(주소 결정 프로토콜)에 대하여

ARP(주소 결정 프로토콜)이란? 주소 결정 프로토콜(Address Resolution Protocol, ARP)은 네트워크 상에서 IP 주소를 MAC 주소로 대응시키기 위해 사용됩니다. 처음 통신을 시작할 때는 상대방의 Mac Address를

coding-factory.tistory.com

 


 

 

-IP 주소는 사용자에 따라 가변적으로 계속 바뀔 수 있으므로 물리적인 MAC 주소가 필요함.
-반대로 MAC 주소만으로 통신을 할 수도 없다. MAC은 고유의 번호이므로 라우터에 통신을 할 수 있는 전 세계의 모든 PCMAC 주소를 다 등록해주어야 하기에 저장공간이 부족함.
-이러한 문제들로 인해 여러 대의 PC를 묶어 IP 주소를 만들고 MAC 주소를 거치게 되는 ARP가 탄생됨.
-ARP는 이러한 주소 간의 매핑을 제공하여 컴퓨터가 목적지로 데이터를 보낼 때 올바른 물리적인 주소를 찾을 수 있게 해 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