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의 모든 것/PC 구성

컴퓨터 시스템의 개요_정보처리기능사

by 어깨 :) 2023. 3. 13.
728x90

 

 

■ 세대별 컴퓨터

* 1세대

진공관, ms연산속도, 하드웨어 개발중심, 일괄처리 시스템

 

 

* 2세대

트랜지스터, 소프트웨어, os, 다중프로그래밍, 온라인실시간 처리(1 CPU 다수 프로그램)

 

 

* 3세대

집적 회로(ic), ns 연산속도, OMR, OCR, MICR 다중처리 시스템, 경영정보시스템

(다수 CPU 다수 프로그램, 기업활동 보조)

 

 

* 4세대

고밀도 직접회로(VLSI), PS 연산속도, PC개발, 슈퍼컴퓨터, 네트워크, 가상기억장치

 

 

* 5세대

바이오칩, FS 연산속도, 인공지능 전문프로그램, 퍼지이론, 의사결정, 패턴인식

 

■ 컴퓨터의 특성

정확성, 신속성, 자동성, 대용량성, 호환성, 범용성

 

 

■ 컴퓨터: 지시절차, 자동 대량 데이터 고속 처리 세대별 컴퓨터

EDPS(전자적 자료처리 장치) : Electronic data procesing system

ADPS(자동 자료처리 장치) : Automatic data processing system

 

 

■ 자료 처리에 의한 분류

디지털 : 이산데이터 취급, 논리회로 ->사칙연산, 느린연산, 정밀도 제한X, 프로그램필요

아날로그 : 연속데이터 취급, 증폭회로 -> 미적분연산, 빠른연산, 정밀도 제한O, 프로그램 필요없음

--> 현재 컴퓨터는 보통 하이브리드 형

 

■ 하드웨어

중앙처리장치-제어장치, 연산장치, 주기억장치

주변장치-입력장치, 출력장치, 보조기억장치

 

-중앙처리장치(CPU)

동작 제어, 연산 수행

 

1. 레지스터

CPU 내의 고속임시기억장치 -> 잠시 자료 기억 역할

Flip flop이 집합

연산속도향상이 목적

https://ko.wikipedia.org/wiki/%ED%94%8C%EB%A6%BD%ED%94%8C%EB%A1%AD

 

플립플롭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R1, R2 = 1 kΩ, R3, R4 = 10 kΩ 플립플롭 또는 래치(영어: flip-flop 또는 latch)는 전자공학에서 1 비트의 정보를 보관, 유지할 수 있는 회로이며 순차 회로의 기본요소이

ko.wikipedia.org

 

 

2. 제어장치

입출력 , 연산, 기억장치 관리 및 지시

 

MAR(Memory Address Resgiser) : 기억번지 레지스터, 기억장소의 주소저장

 

MBR(Memory  Buffer Register) : 기억버퍼 레지스터, 기억장치를 통해 접근한 정보 저장

 

IR(Instruction Register) : 기억버퍼 레지스터, 기억장치를 통해 접근한 정보 저장

 

PC(Program Counter) : 프로그램 카운터, 다음 수행할 명령어 주소 저장

 

명령해독기 부호기 : IR 명령해독 -> 제어신호 보내기, CPU에서 실행할 전기신호로 변환->제어신호 보내기
(Instruction Decoder Encoder)

 

 

3. 연산장치

ACC Accumulator : 누산기-연산 결과를 일시적 기억

가산기 Adder :누산기와 데이터 레지스터 값 더해서 누산기에 저장

데이터 레지스터 : 연산에 사용되는 데이터 일시저장

상태 레지스터 : 현재상태를 나타냄, PSW(Program Status Word): CPU케어 상태 표시

보수기 complement : 마이너스나 나누기를 위해 보수로 변환

 

* 플래그 레지스터: 제어논리장치, 산술논리연산장치의 실행순서 제어

 

 

-주기억장치

프로그램과 데이터가 기억되는 장치

 

-주변장치

입력-OMR, OCR, MICR, 스캐너 마우스 등

출력-프린터, COM 등

보조기억장치- 대용량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저장 및 속도는 감소, HDD/SSD 등

 

 

 

■ 시스템 소프트웨어

컴퓨터의 전반적 운영을 위한 소프트웨어

운영체제(OS) - 언어 번역기, 유틸리티 프로그램

 

-운영체제

하드웨어와 사용자 사이에서 컴퓨터에 성능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있는 프로그램

 

1. 제어 프로그램

감시프로그램(Supervisor Translator Program) : 컴퓨터 시스템 전체의 작동상태를 감시

작업관리프로그램(Job Management Program) : 작업관련 데이터의 준비와 처리를 관리

데이터관리프로그램(Data Management Program): 여러 종류의 데이터와 파일을 관리해주는 프로그램

 

2. 처리 프로그램

언어번역프로그램(Language Translator Program) : 기계어로 번역하는 프로그램

서비스 프로그램(Service Program) : 사용빈도가 높음, 프로그램을 미리 제작사에서 제공

문제처리 프로그램(Problem Processing Program) : 사용자가 업무를 위해 작성한 프로그램

 

-언어번역기

컴파일러 : 고급언어 -> 기계어 한번에 번역

어셈블러 : 어셈블리어 -> 기계어 번역

인터프리터 : 대화식으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행단위로 기계어로 번역

 

 

전처리기 : 고급언어-> 다른 고급언어

크로스 컴파일러 : 다른 기종의 컴퓨터에서 실행할 obj 생성

디버깅 : 프로그램상의 오류를 옳게 수정하는 작업

 

 

-언어 번역과정

 

 

 

 

 

 

https://etst.tistory.com/20

 

전자계산기 일반 - 컴퓨터 시스템의 개요

 

etst.tistory.com

 

728x90